‘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대광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전북의 광역교통 체계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됐다. 이번 개정은 전북 교통 인프라 발전의 중대한 전환점이자, 도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바꿀 제도적 변화로 평가받고 있다.
그동안 전북은 특별시·광역시에 비해 교통 인프라 투자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광역교통 사업 추진 시 국비를 받지 못하고 자체 재원에 의존해야 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 대광법 개정으로 전주권이 법적 대도시권으로 포함됨에 따라 서울·부산 등 대도시와 동일한 기준으로 국고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는 도민들의 이동권이 제도적으로 보장되는 첫걸음이자, 지역 간 교통 인프라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광역교통망 확충에 따른 실생활 변화]
도민들이 가장 먼저 체감할 변화로 전주를 중심으로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교통망이 확충되면 출퇴근 시간이 줄어들고, 도심 내 교통 체증도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도로 용량 부족 탓에 상습적으로 정체되던 구간들이 단계적으로 개선되면서 전주와 익산, 김제, 완주 등 주요 도시 간 이동이 한층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광역교통망 구축이 본격화되면 도심과 주변 지역 간 연계성이 강화되어 하나의 생활권으로 통합되는 효과도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출퇴근뿐만 아니라 교육, 의료, 문화시설 이용 등 일상생활에서도 이동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환승센터 등 대중교통 환경도 개선]
전북의 대중교통체계도 전환기를 맞는다. 대중교통 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환승 편의를 높이기 위해 환승센터 조성이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특히 주요 철도역사에 환승센터가 조성되면 전북 전역을 잇는 광역 대중교통의 핵심 허브로 기능하게 된다.
아울러, 광역철도 노선 구축을 위해 시군 및 관계 기관, 연구원 등과 협력해 시군 간 대중교통체계를 개편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도민들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촉진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물류 기반 강화로 산업 활력도 기대]
광역교통망 확충은 산업과 물류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거점 지역에 화물자동차 공영차고지를 조성해 도심 내 물류 차량으로 인한 혼잡을 줄이는 동시에, 산업단지 및 물류시설과의 접근성을 높여 물류 이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광역도로를 통한 항만·철도 연결망이 개선되면 지역 내 산업단지와 외부 시장 간의 이동이 원활해지고, 기업 유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물류비용 절감과 이동 편의성 향상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고, 물류 인프라를 이유로 수도권에 몰리던 기업의 지역 이전도 촉진될 수 있다.
[정주 여건 개선과 균형발전의 디딤돌]
광역교통망 구축은 단순한 교통문제 해결을 넘어 도민들의 정주 여건을 향상시키고, 인구 유출을 막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교통 접근성이 향상되면 병원, 대학, 문화시설 이용이 쉬워지고, 청년층과 가족단위 인구의 지역 정착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도내 거점도시 간 연계성이 높아지면서 통합 생활권 형성이 가능해지고, 지역 간 격차 해소 효과도 기대된다.
이번 개정으로 전북자치도는 ‘도청소재대도시'로서 법적 지위를 확보하며, 수도권 중심의 정책 구도 속에서 실질적인 균형발전의 출발점에 섰다는 상징성도 함께 갖는다.
앞으로 전북자치도는 국토교통부와 협의해 전주권 광역교통계획 수립 절차에 즉시 착수할 예정이다. 사업별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예비타당성조사 등 사전 절차를 거쳐 국가계획 반영과 함께 국비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도는 이번 기회를 통해 전주권을 시작으로 광역교통망을 도내 전역으로 확장하며, 전북 전체의 교통환경을 체계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대광법 통과는 도민의 생활을 실질적으로 바꾸는 중대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출퇴근이 편해지고, 일자리가 가까워지며, 문화·의료 접근성이 높아지는 등 도민 삶의 질이 확연히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환경 변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후속 절차를 철저히 준비하고, 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