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차단' 수종전환 방제 본격 추진

2025.11.11 14:01:53

○ 군산·익산·정읍·김제·순창 등 집단발생지 중심으로 단계적 수종전환 사업 추진

○ 여건·규모에 따라 소구역모두베기·강도간벌·나무주사 적용

○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활용한 자원순환형 방제체계 구축 목표

 

전북특별자치도가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수종전환 방제를 핵심으로 하는 종합 대책에 나섰다.

 

4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5월까지 방제 기간 기준으로 집계한 도내 감염목은 약 1만 본으로, 전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했다. 이상기온과 온난화로 매개충의 활동기간이 길어지고 소나무 생육 환경이 악화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감염목은 군산시(41.4%), 익산시(13.7%), 순창군(12.9%), 김제시(10.4%), 정읍시(6.5%) 등 5개 시군에 84.9%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업은 최근 기후변화로 재선충병 피해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고사목 벌채 위주에서 탈피해 산림복원에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이를 통해 산림생태 회복과 재선충 확산 억제는 물론, 수천 톤의 산림 부산물 재활용으로 탄소중립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은 감염되었거나 감염 우려가 있는 소나무류는 제거하고, 건강한 소나무류는 감염을 예방해 산림생태계를 유지·복원하는 산림재해 대응 사업이다.

 

그중 수종전환 방제는 집단 또는 반복 피해지역의 감염목과 주변 소나무류를 모두 제거한 뒤, 재선충과 산불에 강한 내화수나 활엽수 등을 식재해 회복력 있는 산림으로 재생하는 방식이다.

 

단목방제 지역에서 감염이 되풀이됐던 것과 달리, 수종전환 방제는 재감염률을 낮추고 예산 절감 효과가 커 비용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는 2025년 하반기부터 2026년까지 군산 옥구읍, 정읍 두승산, 김제 전군간자동차전용도로, 순창 동계·인계면 등 주요 집단발생지 460ha 이상을 대상으로 수종전환 사업을 단계적으로 실시한다. 행정절차가 완료된 지역부터 착수하며, 단기 성과에 머물지 않고 장기적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피해 규모와 지형 특성에 따라 수종전환과 함께 단목제거, 소구역 모두베기, 강도간벌, 나무주사 등 다양한 기법을 병행한다.

 

도는 방제 과정에서 나오는 원목 및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지, 잔목 등)를 목재칩이나 펠릿 등으로 재활용하는 자원순환형 방제체계 구축도 추진 중이다.

 

올해 80억 원을 투입해 6만여 본 제거, 나무주사 522ha, 수종전환 285ha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12월 말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에는 45억 원을 확보해 수종전환 중심의 방제전략을 도 전역으로 넓히고, 청정지역 회복의 토대를 다질 예정이다.

 

송금현 전북자치도 환경산림국장은 “전북은 앞으로 수종전환을 방제의 핵심축으로 삼고, 여건에 맞는 다양한 방제기법과 산림바이오매스 활용을 통해 친환경·고효율 방제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라며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차단은 행정의 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도민 여러분께서도 방제사업에 대한 이해와 협조, 적극적인 참여로 전북의 숲이 다시 푸른 산림으로 되살아날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무진장뉴스i byw@mjjnews.net
저작권자 © 무진장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무진장인터넷뉴스 전북 진안군 진안읍 대괭이길 40-36 등록번호 : 아00521 | 발행일 : 2019-01-03 | 발행인 : 한영희 | 편집인 : 한영희 | 전화번호 : 063-247-4365 | FAX : 063-433-1779 Copyright ©2019 mjj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