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가야봉화터! 1500년만에 다시한번 타올랐다

2021.06.16 15:00:55

-장수 오성리 가야봉화 실체드러나

-17일 오성리 가야봉화터 현장서학술자문회의 개최 예정

 

장수군은 문화재청의 허가를 득하여 호·영남 화합과 상생의 장을 마련하고자 추진 중인 ‘전북지역 가야문화유산 연구복원 사업’의 일원으로 ‘장수 봉화봉 봉화’의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 발굴현장: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오성리 산1-2번지

 

16일 군에 따르면 전주문화유산연구원은 장수군 의뢰로 올해 4월부터 조사 중인 장수 오성리 가야봉화 유적이 최근 전북 동부산악지대에서 확인된 110여 개소의 삼국시대 봉화 중 하나로서, 금번 발굴조사를 통해 봉화의 축조 및 운영주체가 ‘금강 상류지역에 존재했던 가야세력’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다듬은 돌로 쌓은 사각형의 봉화대와 불을 피웠던 봉화시설, 봉화운영과 관련된 봉화꾼의 주거공간과 불씨를 보관하는 시설 등이 확인됐다.

봉화대는 한 변의 길이가 800〜850㎝로써 상부에는 원형의 봉화시설이 남아 있다.

봉화대와 주거공간에서는 밀집파상문이 시문된 가야토기편, 적갈색 연질토기편, 기와편 등 삼국시대의 유물 70여 점이 출토됐다.

 

금번 조사를 통해 봉화대와 관련시설이 비교적 온전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어 문헌에 기록된 삼국시대[가야] 봉화의 실체를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봉화(烽火): 불을 피워 변방의 급보를 중앙에 알리기 위해 만든 시설

 

이 발굴조사 성과와 검토를 위해 오는 17일(목) 오후 3시에 발굴현장에서 관계 전문가와 함께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장영수 장수군수는 “앞으로도 장수지역 가야문화유산 대한 지원을 통해 역사적 가치를 지닌 유적들이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무진장뉴스i byw@mjjnews.net
저작권자 © 무진장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무진장인터넷뉴스 전북 진안군 진안읍 대괭이길 40-36 등록번호 : 아00521 | 발행일 : 2019-01-03 | 발행인 : 한영희 | 편집인 : 한영희 | 전화번호 : 063-247-4365 | FAX : 063-433-1779 Copyright ©2019 mjj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