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군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전설이 얽혀있는 마이산에서 국태민안과 군민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한 마이산신제를 봉행했다.
마이산은 신라 때부터 제사 터에 들어 역대 왕조에서도 이를 이어받아 산신제를 봉행한 곳이다.
특히 조선 태종이 남행했을 때 관원을 보내어 제사하고 마이산이라 이름을 내려 주었다고 한다. 마이산신제는 조선 후기까지 계속되다 나라의 혼란으로 중단되었던 것을 1984년 진안군민의 날 행사의 일환으로 마이산신제가 부활되어 군민의 날 전날인 10월 11일 마이산 은수사에 마련된 마이산제단에서 산신제를 거행한다.
올해에도 나라의 평안과 군민의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가 엄숙히 거행됐으며, 이날 제사에는 초헌관 전춘성 진안군수를 비롯해 아헌관 전용태 도의원, 종헌관 성만수 용담향교 유도회장이 각각 맡아 마이산신제원위원 및 진안군민, 관광객 등 100여명이 관심과 참여 속에 진행됐다.
초헌관을 맡은 전춘성 진안군수는 “마이산산제는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으로 나라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진안군민들의 앞날에 안녕과 행복을 기원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