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개 시군 특화 특례 시행... 전북 지역균형발전 가속화

2025.10.06 11:50:48

○ 공통특례 37건과 시군별 맞춤형 특례로 전방위 발전 추진

○ 문화·농생명·관광·첨단산업 4대 축 중심 성장동력 확보

○ 각 시군 지리적·문화적 특성 반영한 맞춤형 발전전략 구현

 

전북특별자치도는 각 시군의 특색과 강점을 살린 차별화된 특례를 통해 전북 내 지역균형발전 도모와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고 6일 밝혔다. 도는 공통 적용 특례 37건과 함께 14개 시군별로 특화된 주요 특례를 시행하며, 문화산업부터 첨단산업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문화와 첨단산업 융합으로 미래도시 조성

전주시는 한스타일 영상지구 확대와 전북핀테크 육성지구, 탄소소재 의료기기 기술 특례를 통해 K-컬처 허브로 도약하고 있다. 전주 정보영상벤처타운, 한옥마을, 영화의거리에서 확장되는 문화산업진흥지구는 올해 하반기 최종 지정을 목표로 한다.

 

군산시는 새만금 고용특구 지정으로 맞춤형 취업 연계와 직업정보 제공을 통해 일자리 창출 거점을 구축하며, 이차전지 산업과 국제회의산업, 해양문화유산국제교류지구 조성으로 미래산업과 관광을 동시 발전시키고 있다.

 

▲농생명산업 특화로 고부가가치 창출

도내 여러 시군이 농생명산업지구 선도지구로 지정돼 특색 있는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다.

 

익산시는 동물용의약품산업지구로 클러스터 조성과 고도화를 통해 효능·안전성 평가센터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등 인접 연구 기관과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남원시는 ECO 스마트팜 산업지구로 임대형스마트팜과 대규모 창업단지, 친환경에너지타운 등 60.1ha 규모의 스마트농업 생태계를 구축했다.

 

진안군은 홍삼한방산업 진흥지구로 홍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융복합 플랫폼을 구축해 생산·가공·유통·판매·홍보의 집중화를 통한 브랜드 가치 상승을 기대한다. 장수군은 저탄소 한우 산업지구로 한우 기술개발과 도축장, 가공센터 첨단화 및 저탄소 융복합센터를 구축해 온실가스 감축과 농가 소득 증대를 동시에 달성한다.

 

임실군은 임실엔치즈·낙농 산업지구로 저지종 육성과 가공유통단지, 치즈월드 조성 등을 통해 1차 산업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을 추진한다. 순창군은 미생물 농생명산업지구로 아시아 최대 그린바이오 공급망 구축과 순창 고추장 마을 K-발효관광 명소화를 도모한다.

 

고창군은 사시사철 김치특화 산업단지로 김치원료 공급단지와 김치양념 발효식품 가공단지를 구축해 안정적 판로 확보와 농가소득 안정화에 이바지한다.

 

▲친환경 산악관광으로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

무주군은 향로산 친환경 산악관광 진흥지구로 자연휴양림과 산림복지지구를 연계한 산림문화·휴양·치유 콘텐츠를 구축해 숙박과 휴식, 문화, 레포츠 등 다양한 관광활동을 즐길 수 있는 체류형 관광단지를 조성한다.

 

김제시는 모악산 도립공원에 빛·야생화 정원, 숲 어드벤처, 로맨틱상가를 조성해 도 중심권 입지 경쟁력을 기반으로 체류형 관광수요에 대응한다. 부안군은 운호리 친환경 산악관광지구로 변산해수욕장, 격포해수욕장 등 해양자원과 내소사, 개암사 등 산림휴양자원을 연계한 체류·체험형 복합문화 리조트를 구축하고 있다.

 

▲첨단산업과 환경도시로 미래 준비

정읍시는 전라권 유일의 환경교육 시범도시로 지정돼 주민자치적 환경보전 참여와 의식향상을 위한 지역특화 환경교육을 추진하며, 첨단과학산업단지 지정도 신청해 환경과 기술이 조화된 지속가능 도시 모델을 제시한다.

 

완주군은 수소경제 이행 특례를 통해 수소산업 인프라를 활용한 청정수소 개발·생산·보급 시책을 마련하며, 산업부 수소특화단지 지정에 대응해 미래 에너지 산업의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다.

 

도는 37건의 공통적용 특례를 통해 감사위원회 설치, 주민참여 예산제도, 지역중소기업 지원, 지역인재 선발채용, 해외협력, 야간관광산업 육성 등으로 전 지역의 행정 효율성을 높이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14개 시군이 각자의 강점을 바탕으로 특화된 길을 걸어가면서, 전북 전체가 하나의 큰 그림을 완성해 나가고 있다”라며 “특례는 단순한 제도가 아닌, 전북 발전의 동력이 되고 있다.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더욱 실효성 있는 특례 발굴과 활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무진장뉴스i byw@mjjnews.net
저작권자 © 무진장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무진장인터넷뉴스 전북 진안군 진안읍 대괭이길 40-36 등록번호 : 아00521 | 발행일 : 2019-01-03 | 발행인 : 한영희 | 편집인 : 한영희 | 전화번호 : 063-247-4365 | FAX : 063-433-1779 Copyright ©2019 mjj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