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계가축시장 그리고 스마트폰

2022.01.18 16:38:01

 

18일 개장한 전북 장수군 '장계 스마트 가축시장'을 찾은 축산인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해 경매를 하고 있다.  장계 스마트 가축시장은 출하 한우의 정보가 표기되는 계류대의 디지털화는 물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경매 관전 및 입찰이 가능해져 가축시장을 방문하지 않고 전국 어디서든 스마트폰을 통해 경매를 할 수 있게 됐다. 이로인해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및 가축질병 확산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장수군 제공)

 

 

소를 몰고 오가던 옛사람들이 생각난다.

소처럼 순박한 시골 동네 사람들은 자기 집 재산목록 1호인 소를 끔찍이 소중하게 여겼다. 소는  밭 갈고  논 가는 충실한 일꾼이자 자식을 위한 요긴한 교육보험이었으니까.. 어지간히 자란 아이들은 소 먹일 풀을 베어날랐고 저녁이면 이것저것 섞어 죽을 끓여 따뜻하게 먹였다. 아버지는 늘 소를 건사하셨다.

 

하지만 이제는 아버지도 가셨고,  집에서 기르는  소의  위치도 역할도 키우는 방식도 많이 변했다.

쉴새없이 달라지는 세상이 새삼 놀랍다.

요새는 대충 이라는 게 없는 듯 싶다.

정확히 숫자화 하고 계량해 판별한다.

참 과학적이고 효과적이다. 쉽고 편리하다.

 

우리에겐 늘 이별의 순간이 있다. 

별 감흥없던 만남도 막상 헤어지자면 섭섭함을 안긴다.

하물며 날마다 정성들여 기르며 교감해오던 가축을 내다팔 때면 어찌 마음이 편하기만 할까!

소를  팔고사는 모습이 떠올라서 그만 소를 기르는 사람들의 심정을 느끼고 만다.

 

핸드폰으로 소를 경매하는 세상에 마음도 ON-OFF 스위치를 누르는 것처럼 좀 기계화되면 좋으련만 소의 눈망울이 안 잊힌다.

'한낱 가축인 것이  눈은 무엇하러 그리 선하게 생겨가지고..'

 

 

 

 

 



무진장뉴스i byw@mjjnews.net
저작권자 © 무진장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무진장인터넷뉴스 전북 진안군 진안읍 대괭이길 40-36 등록번호 : 아00521 | 발행일 : 2019-01-03 | 발행인 : 한영희 | 편집인 : 한영희 | 전화번호 : 063-247-4365 | FAX : 063-433-1779 Copyright ©2019 mjj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