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알림방

[모집]전북 스마트팜 청년창업 4기 교육생 모집

▶전북 농식품인력개발원 스마트팜 청년창업 교육생 52명 모집[4.28.~5.31.]

▶청년창업 농업인 52명을 선발하여 스마트팜 관련 기초이론부터 경영실습까지 전 과정(최대 1년 8개월)을 맞춤형 무료 교육

▶첨단화된 스마트팜 농업교육 시설을 갖춘 농식품인력개발원의 현장중심 교육 프로그램으로 청년창업농에게 농업의 비전 제시

 

전라북도 농식품인력개발원이 스마트팜을 이끌어 갈 청년창업 농업인 양성을 위해 ‘스마트팜 청년창업’ 교육생을 28일부터 5월 31일까지 모집한다.

 

교육 신청 대상자는 만 18세 이상부터 만 39세 이하의 청년이며, 전공에 관계없이 스마트팜 취‧창업을 희망하는 청년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교육신청 후 1단계 적격심사, 2단계 서류심사, 3단계 면접 심사를 통해 7월 말에 교육생을 선발한 후, 전북 김제 농식품인력개발원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에서 교육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전북농식품인력개발원은 김제 백구에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사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하고 있으며,
현재는 전북 농식품인력개발원의 실용농업교육센터(첨단 유리온실)의 강의실, 교육 실습기자재, 교육형 작물재배 온실 장비 등을 활용해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
전북농식품인력개발원은 선발된 교육생을 대상으로 8월 중에 오리엔테이션을 거친 후 8월 말부터 교육할 예정이다.
교육은 영농 지식과 기반이 없는 청년도 스마트팜에 취·창업할 수 있도록 작물 재배기술, 복합환경제어 운영, 병해충관리, 온실 설비, 경영·마케팅 등의 이론교육과정 2개월과 현장실습과정 6개월, 경영실습과정 1년으로 총 20개월간 진행된다.

 

전라북도는 2018년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사업을 시작으로 11명 수료생이 자가 경영 및 취업을 하였고, 현재 96명이 교육형 실습과 자기 주도하에 경영형 실습을 진행 중이다.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 교육과정을 수료한 교육생에게는  취·창업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스마트팜 장기임대 온실(수행실적 우수자, 3년) 우선 입주, 스마트팜 종합자금 신청 자격 부여, 농신보 보증비율 우대 등을 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팜 코리아(www.smartfarmkorea.net)’에 게시된 교육생 모집 공고문을 확인한 후, 궁금한 사항은 스마트팜 콜센터 ☏1522-2911, 전라북도 농식품인력개발원 ☏063)290-6434로 문의하면 된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도, 지역·연고 의원 협의회로 국가예산 공조체제 가동
전북특별자치도가 30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지역 국회의원 및 연고 국회의원 예산정책협의회를 연이어 개최했다. 2026년도 국가예산 국회단계 증액 확보를 위한 전방위 공조 체제를 본격 가동한 것이다. 오전 지역 국회의원 협의회와 정오 연고 국회의원 협의회로 나뉘어 진행된 이번 회의에서 김관영 지사는 도정 주요현안과 부처별 건의사업을 공유했다. 전북 지역 국회의원 예산정책협의회에서는 국회단계 증액이 필요한 주요사업의 역할분담을 모색했다. 효과적인 반영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다. 도는 올해 정부안 9조 4,585억 원을 확보했다. 하지만 새만금·AI·문화·복지 등 핵심 분야에서 과소·미반영된 70대 중점사업의 국회단계 반영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국립모두예술콤플렉스 건립 ▲AI 융합 영화·영상 실증지원센터 건립 ▲협업지능 피지컬AI 기반 SW플랫폼 조성 ▲국립 의용소방대 연수원 건립 ▲새만금 국가정원 조성 ▲국립익산식품박물관 건립 ▲동물의약품 임상시험센터 구축 ▲기초연구인프라 연구시설 구축 ▲AI 기반 차세대 엑소좀 기술 및 표준화 개발 ▲전북 혁신도시 종합사회복지관 건립 등 지역구별 핵심사업이 집중 검토됐다. 전북의 미래 성장축과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