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알림방

[공모]무주군, 제6회 김환태 청소년문학상 공모

전국 중·고등학생 및 청소년 대상

- 9.23.~10.20. 방문 및 우편, 이메일 접수 중 택1

- 김환태와 무주를 주제로 하는 문학작품, 형식 및 분량 자유

- 10.28. 발표, 대상(문체부장관상) 1명 상금 1백만 원

 

무주군은 제6회 김환태 청소년문학상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전국의 중·고등학생 및 청소년(2006.1.1.~2011.12.31. 출생자 및 공고일 현재 국내 중·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김환태 청소년문학상 공모 접수 마감은 10월 20일(18:00)까지다.

 

공모 분야는 김환태 및 무주를 주제로 하는 문학작품(김환태문학관 누리집-연구자료에서 김환태 작품 참고)으로 형식 및 분량은 자유다.

 

접수는 방문(김환태문학관 사무실 063-320-5637 / 토·일·공휴일 불가) 및 우편(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최북로15 김환태문학관), 이메일(hyang1511@korea.kr)로 모두 가능하며

 

김환태문학관 누리집(홈페이지)에서 참가신청서와 서약서를 내려받아 작성, 작품과 함께 제출하면 된다.

 

발표는 10월 28일 개별 통보하며 김환태문학관 누리집에도 게시할 예정이다. 대상 1명(문체부장관상)에게는 상금 1백만 원을. 금상 1명(전북특별자치도지사상)에게는 상금 70만 원을 수여한다.

 

은상 1명(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상)에게는 상금 50만 원이. 동상 1명(무주군수상)에게는 상금 30만 원, 가작 5명(무주군수상)에게는 상금 각 10만 원씩이 주어진다.

 

무주군청 태권문화과 박금규 과장은 “김환태 청소년문학상 공모는 무주 출신 문학비평가 김환태 선생의 순수 문학 비평 정신과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청소년들의 문예 창작활동을 뒷받침하는 기회의 장”이라며 “문학과 무주에 관심 있는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김환태 청소년문학상은 2019년도에 시작돼 올해로 6회째를 맞고 있으며 그동안 417편의 작품들이 접수돼 1회 때는 김선 학생(서울)의 <무주로 가는 길>, 2회 안승언 학생(정읍)의 <내가 그대를 떠올리면>,

 

3회 홍성준 학생(수원)의 <내 소년 시절과 소>, 4회 이가을 학생(홍성)의 <내 친구 뿔뿔이와 오목이>, 5회 한상원(서울) 학생의 <무주 제일건재>가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청년이 머무는 전북...‘하우와우 미래캠프’ 본격 운영 돌입
청년의 실질적 성장과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하우와우 미래캠프’가 2기 출범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8일 전주대학교 하림미션홀에서 청년인재 성장 프로젝트인 ‘하우와우 미래캠프 2기’ 발대식을 개최하고, 도내 대학생 100명과 전문 멘토 43명 간의 멘토-멘티 결연을 공식적으로 체결했다. 하우와우 미래캠프는 도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산업 분야 실무 전문가와 멘토-멘티 관계를 맺고, 팀별 프로젝트와 현장 체험 등을 통해 역량을 키우는 프로그램이다. 전북자치도는 올해 캠프에 도내 6개 대학 3학년 이상 재학생 100명을 선발했다. 청년들은 ‘성장 의지’와 ‘발전 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됐으며, 첨단산업·디지털, 에너지·모빌리티, 농생명·바이오, 로컬콘텐츠 등 4개 분과에 배치돼 분야별 전문가와 그룹 활동을 진행한다. 멘토는 전북 출신 기업 대표, 연구자, 교수, 공공기관 임원 등 도내외 전문가 43명으로 구성됐다. 각 분야의 실무 경험과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청년의 진로 탐색을 돕고, 지역 산업과 연결되는 실질적 진로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이들은 연말까지 캠프 운영을 통한 단기 교육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 관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