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무주뉴스

오는 5일과 6일, 조선왕조실록 묘향산 사고본 이안 행렬 & 포쇄의식

- 10. 5. 봉안사행렬~봉인식, 오후 5시 반부터는 야행

- 10. 6. 조선왕조실록 적상산사고 포쇄 의식 재연

- 무주국가유산축전의 진수 확인의 기회

‘조선왕조실록 묘향산 사고본 적상산사고 이안 행렬(이하 조선왕조실록 이안 행렬)’과 ‘포쇄 의식’의 진수를 오는 5일과 6일 무주군 무주읍 한풍루(지남공원)와 무주군청(앞마당), 무주향교와 사랑의 다리(남대천교) 일원에서 열리는 “2024 무주국가문화유산축전”에서 확인해 볼 수 있겠다.

 

‘조선왕조실록 이안 행렬’ 재연 행사는 국조보감감인청의궤(國朝寶鑑監印廳儀軌)반차도를 바탕으로 재구성했다.

 

5일 오후 2시 사랑의 다리에서 무주군청 구간 파발마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무주현감 행렬(무주군청->U대회기념교->등나무운동장 사거리), 봉안사 행렬(무주세무서->등나무운동장 사거리), 봉안사 일행 맞이(등나무운동장 사거리),

 

관아 보관 행렬(등나무운동장 사거리->사랑의 다리->무주군청), 무주관아 보관식(무주군청), 적상산사고 봉안식 행렬(무주군청), 사고 봉안식(무주군청->사랑의 다리, 터미널 사거리->최북로->한풍루) 순으로 펼쳐진다.

 

6일 오후 2시부터는 적상면 적상산사고에서 ‘포쇄 의식·이안 행렬’이 재연된다. ‘실록의 봉안 및 포쇄 의식’은 당시 국가 차원에서 행해졌던 중요 의식으로 이날 행사에서는 적상산사고에서 조선왕조실록을 햇볕과 바람으로 말려 보존하던 전통 방식을 재연한다.

 

무주문화원 맹갑상 원장은 “조선왕조실록 이안 행렬과 포쇄 의식 재연이 무주군민에게는 자긍심을, 무주를 찾는 방문객들에게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해 줄 것”이라며

 

“전국 최초로 축전의 개념을 도입해 무주지역 유·무형유산을 활용한 체험·문화·공연 형태로 선보이는 무주국가문화유산축전이 즐거움과 유익함을 동시에 전할 수 있도록 내실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무주문화유산 야행은 5일, ’7야(夜)‘를 주제로 밤에 비춰보는 국가유산(야경)‘을 비롯해 ’밤에 걷는 거리(야로)‘, ’밤에 듣는 이야기(야사)‘, ’밤에 보는 그림(야화)‘, ’밤에 감상하는 공연(야설)‘, ’밤에 즐기는 장터(야식·야시)‘를 테마로 다양한 공연과 체험, 놀이 등이 펼쳐진다.

 

무주군청(앞마당)에서는 오후 5시 30분부터 들소리 공연(금산물폐기농요)을 시작으로 클래식(브뤼엘)과 국악(튠), 보컬(서진은) 공연이, 한풍루(지남공원)에서는 6시부터 ’북청사자놀음‘과 태권도시범(싸울아비), 개막식 & 삼도 풍물 공연, 태권 락 퍼레이드가 개최된다.

 

무주향교에서는 6시 인형극(안국사 학대사의 전설)을 시작으로 성악(파스텔), 클래식(브뤼엘), 전통공연(튠), 사물놀이(아리랑) 등을 볼 수 있다. 8시 30분부터 사랑의 다리에서는 무주안성낙화놀이가 펼쳐진다.

 

이외에도 최북미술관에서는 조선왕조실록 역사관 관람을 비롯해 ’적상산 컬러링북‘, ’적상산성 3D퍼즐 체험‘을, 한풍루에서는 야경을 즐기며 ’무주 큐브만들기‘와 ’한풍루 3D퍼즐‘, ’한풍루 DIY액자 만들기‘ 등을, 군청에서는 ’삼베짜기 재연과 체험‘, ’소원등 만들기‘, ’지질공원해설사 체험‘ 등을 해 볼 수 있다. 향교에서는 ’화가투놀이‘ 등 민속놀이들이 기다린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도·완주군·진안군 공동 주관...임진왜란 웅치전투 영령 추도행사
전북특별자치도·완주군·진안군이 공동 주관한 '임진왜란 웅치전투 추도행사'가 29일 도청 공연장에서 개최됐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이번 추도행사는 임진왜란 당시 조국 수호에 목숨을 바친 웅치전투 영령들을 기리고, 웅치전투의 역사적 의의와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는 임진왜란 웅치전투에서 산화한 선열들을 조명하는 영상을 시작으로, 호국선열에 대한 경의를 담은 추도사, 추도어록, 추도시 낭독이 이어졌다. 이어 선조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는 헌화 및 묵념 시간을 갖고, 내빈과 유족들이 함께하는 추도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특히 이 자리에는 웅치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정담 장군, 황박 장군 등 임진왜란 웅치전투 참전 후손들이 전국 각지에서 참석해 선조들을 추모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됐다. 전북자치도는 2022년 12월 '임진왜란 웅치 전적'의 국가 사적 지정 이후, 웅치 전적지를 체계적으로 보존·활용하기 위해 2024년부터 '임진왜란 웅치 전적 종합정비계획 수립 용역'을 수립하고 있다. 올해는 웅치전투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고 국민들에게 그 의미를 널리 알리기 위한 웅치전투 관련 다큐멘터리 제작 '임진왜란 웅치전투 선양사업'을 추진 중이다.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