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9.0℃
  • 맑음강릉 12.5℃
  • 구름많음서울 9.5℃
  • 맑음대전 12.2℃
  • 맑음대구 12.6℃
  • 맑음울산 14.4℃
  • 맑음광주 13.0℃
  • 맑음부산 15.6℃
  • 맑음고창 11.6℃
  • 구름많음제주 13.1℃
  • 구름많음강화 8.5℃
  • 맑음보은 10.3℃
  • 맑음금산 11.4℃
  • 맑음강진군 13.9℃
  • 맑음경주시 12.8℃
  • 맑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진안뉴스

백년 명가 진안 성수주조장 ‘딸기막걸리', 英 왕실 백화점 해로즈 입성!

 

백여년의 역사를 지켜온 전통 양조장이 혁신적인 상품으로 세계 명품 주류 시장의 문을 활짝 열어젖히며 K-푸드의 새로운 선봉에 섰다. 전북 진안군의 성수주조장(대표 진양우)이 창업 100주년을 맞이하여, 대표작인 '딸기막걸리'를 오는 12월부터 영국 최고의 명품 백화점이자 왕실 백화점으로 알려진 해로즈(Harrods)에 수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번 해로즈 입성은 지난 2월부터 미국 뉴욕의 미슐랭 스타 레스토랑에 매월 꾸준히 딸기막걸리를 직수출하며 품질과 상품성을 입증한 성과에 힘입은 결과다. 성수주조장의 이번 성과는 일본의 '사케(Sake)', 중국의 '바이주(白酒)'와 어깨를 견줄 아시아 명품 주류로서 '우리술'의 가능성을 전 세계에 각인시키는 유의미한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백년전인 1925년에 창업한 성수주조장은 전북을 대표하며 오직 막걸리 외길을 고집해 온 장인 정신의 산실이다. 근래에는 전통을 고수하면서도 MZ 세대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는 혁신적인 시도로 주목을 받아 왔다. 특히 올해 '우리술 품평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국내 전통주 분야에서 이미 자타 공인 '대표 주자'로 자리 매김했다.

 

이러한 명가의 역작인 '딸기막걸리'는 전통적인 주조 방식에 진안고원의 고당도 생딸기를 접목해 탄생시킨 우리술이다. 역시 지역 햅쌀과 전통 누룩이 뿜어내는 고유의 풍미와 생딸기의 상큼 달콤한 맛이 밸런스를 이루며, 기존의 막걸리가 갖는 투박한 이미지를 벗고 고급화 전략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구인에게는 다소 낮은 알코올 도수(6도)와 생과일이 발효되어 숙성된 세련된 향은 영국의 프리미엄 시장에서도 큰 평가를 받아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성수주조장 관계자는 "지난 백여년간 지켜온 전통의 맛에 청정 진안군이 빚어낸 농산물을 입히는 것이 우리의 혁신이다. 딸기막걸리가 미슐랭 레스토랑을 거쳐 영국의 왕실 백화점까지 진출하게 된 것은 한국 전통주의 품질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음을 증명하는 것" 이라며, "앞으로도 K-푸드의 첨병으로서 우리술의 세계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번 해로즈 직수출은 단지 하나의 상품이 해외 명품 시장에 진입했다는 의미를 넘어, 막걸리가 단순한 서민의 술을 넘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명품 주류로 도약하는 중요한 변곡점에 서 있음을 보여준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자기주도 학습센터...도내 5개 지역 내년 1월 센터 개소 앞둬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자기주도학습센터의 안정적 개소와 효율적 운영 기반 마련을 지원한다. 전북교육청은 26일 도내 자기주도학습센터 공모사업 선정 5개 시·군 교육지원청 및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우수기관 벤치마킹을 진행했다. 앞서 전북에서는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부 ‘자기주도 학습센터 공모사업’에 순창, 정읍, 김제, 장수, 고창 등 5개 지역이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공모에 선정된 5개 지역은 내년 1월 자기주도 학습지원센터 개소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교육청과 지자체가 상호 협력해 지역과 소득수준의 차이가 학습 기회의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지역 맞춤형 학습공간을 조성하고, 학습코디네이터를 배치해 학생들의 학습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이날 현장 방문단은 △학생 맞춤형 학습코칭 운영 방식 △학습공간 구성 및 시설 운영 체계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학습자 데이터 분석 및 상담 프로세스 △학부모·교사 협력 모델 등을 중심으로 예천군의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전북형 모델 구축 방향을 논의했다. 임경진 교육협력과장은 “자기주도학습센터는 지역 학생들의 학습역량을 높이고 학습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