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알림방

[모집]전북도,제7기 전북청년정책포럼단 모집

청년소통 첫걸음, 청년이 만드는 청년정책’

▸전라북도 거주 만18~39세 이하 청년 누구나 신청가능

▸이번 달 24일까지, 전북청년허브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

▸70명 선발, 5개 분과(일자리, 주거, 교육, 생활지원, 참여․권리)로 운영

 

전라북도와 전북청년허브센터(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제7기 청년정책포럼단’을 2월 24일까지 모집한다.

 

전북청년정책포럼단은 ‘전북청년기본조례’에 의거해 운영되는 대표 청년협의체 기구로, 지난 `16년부터 7년째 운영해오고 있다.

 

그간 408명*의 청년들이 참여해 도내 다양한 청년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했고, 이에 대한 성과로 ‘청년 기본조례 제정(’17.4월)‘, ’청년허브센터 개소(’20.5월)‘ 등의 결실을 맺었다.

* ’16년(90명), ’17년(71명), ’18년(54명), ’19년(50명), ’20년(93명), ’21년(50명)

 

이번 7기 포럼단 모집 규모는 5개 분과(일자리, 주거, 교육, 생활지원, 참여․권리) 70명이다. 이전 50명에 비해 20명이 확대됐다.

 

지원 자격은 도내에 거주하는 만18세~39세 이하의 청년으로, 지역의 청년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의지가 있다면 신청할 수 있다.

 

접수는 2월 24일(목)까지 전북청년허브센터 누리집을 통해 할 수 있다. 포럼 단원은 올해 12월말까지 다양한 의제 발굴 및 정책 제안 등 청년을 위한 다양한 정책발굴 활동을 하게 된다.

 

포럼단원에게는 전라북도지사 명의의 위촉장이 수여되고, 참여 수당이 지급된다. 우수 활동자에게는 연말에 전라북도지사 및 전북청년허브센터장의 표창도 전수할 계획이다.

 

전북도 강승구 기획조정실장은 “코로나19로 우리도 청년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이 발굴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북청년허브센터 박광진 센터장은 “전북청년의 다양한 목소리 담아낼 수 있도록 제7기 청년정책포럼단 활동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라고 말했다.

 

자세한 신청방법과 내용은 전북청년허브센터 누리집(www.jb2030.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관련문의 : 전북청년허브센터(063-227-2030)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베트남 학생 18명, 내년 3월 전북 고교 입학
베트남 고등학생들의 전북 고등학교 입학이 가시화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2026학년도 직업계고 외국인 유학생 선발을 위해 9~10일 베트남 현지에서 1차 선발 심사를 실시했다. 선발 심사는 직업계고 외국인 유학생 선도학교 교장 등 10여 명이 베트남 교육훈련부 국제교육개발센터(CIED)를 방문해 서류 및 면접 심사로 진행했다. 앞서 CIED는 지난 6월 30일까지 유학생 모집 및 접수를 완료하고, 총 48명의 지원자 중 25명을 전북교육청에 추천했다. 전북교육청은 이들을 대상으로 1차 심사를 진행해 18명을 최종 선발했다. 선발된 학생들은 입학 전까지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어 및 한국 생활문화 교육’에 참여한 뒤 오는 11월 중 2026학년도 고등학교 입학전형 일정에 따라 원서 접수와 최종 면접을 거쳐 입학을 확정하게 된다. 입학 대상 학교는 도내 직업계고 외국인 유학생 선도학교인 △글로벌학산고 제과제빵과·글로벌외식조리과·헤어미용과 △전주공업고 기계과·전기과·자동차과 △줄포자동차공업고 미래자동차과다. 문형심 창의인재교육과장은 “외국인 유학생 선발은 전북교육청과 베트남 교육훈련부 간의 실질적인 교육 협력의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직업계고의 국제 경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