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칼럼·기고

현대인의 초상

-주창윤의 허기사회 서평

  현대사회에 있어서 ‘허기(hunger)’는 참 어울리지 않는 단어다. 시장 자유주의 논리 위에 있는 세상은 오히려 화려함과 풍족하다는 말에 더욱 가까워 보인다. 그럼에도 빈곤과 부의 불평등한 분배에 관한 문제는 연일 쏟아져 나온다. 청년 실업률이 10%에 다다르고, 거의 4년째 2%에서 3%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는 지금, 사람들을 지배하는 것은 경제적인 빈곤뿐만이 아니다.

한국 사회는 날이 벼려진 칼날 같다. 인터넷 기사에 댓글만 봐도 현 문재인 정부를 지나치게 미화하거나 혹은 과하게 깎아내리는 양상이 펼쳐진다. 중도의 온건한 온도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유 튜브 홈페이지에서 가짜뉴스를 퍼트려 특정 사회정치적 성향을 옹호하거나 선동한다.

주 창윤의 <허기사회>는 과도한 흥분과 공분을 현대인의 정서적인 허기에서 찾고 있다. 70년대 후반에서 80년대에 일어난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사람들은 말 그대로의 배고픔에 더 이상 시달리지 않는다. 다만 이미 비어버린 밥그릇을 보며 끝이 없는 공허감과 보이지 않는 정신적 허기를 느낀다. 한 때 수많은 미디어는 ‘치유’, ‘힐링’의 코드로 콘텐츠를 만들어 낸다. 저자 주 창윤은 이런 상황을 ‘퇴행적 위로’라고 지칭한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는 경제적, 사회적 현실이 따라주지 않고, 경제 성장의 주역들은 기득권이 되어 고칠 생각이 없다. 실질적 바통을 받아야 하는 현대인들은 알 수 없는 정서적 병증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로 인해 일차적이고 손쉬운 ‘아프니까 청춘이다’ 따위의 힐링 코드가 2012년경에 크게 유행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떤가? 힐링, 치유의 콘텐츠는 예전만큼 활발하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모 유명 개그맨이 ‘아프면 환자지’라는 냉소적인 말로 이미 위장된 위로, 치유임을 우리 사회가 자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는 복잡한 이야기나 교훈을 주는 콘텐츠가 아닌, 단순한 행동 그 자체만을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한 번에 엄청난 양의 음식을 먹는 영상, 액체 괴물로 칭하는 반 고체형 풀을 주물러 가며 노는 영상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우리 사회는 소진(burn-out) 되어 버렸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없이는 현대인들은 끊임없는 공허의 나락에서 허우적거릴 것이다. 길고 긴 저성장 시대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책은 일차적인 미봉책이 아니라 뿌리 깊은 과거로의 직면이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대다수 사람들이 힘겨운 삶을 살아가지만 그중 세상에 첫발을 내딛든 신세대들은 일단 먹고 사는 가장 일차적인 문제에서부터 너무 힘들다. 그러니 다른 문제가 연이어 발생되는 것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소진된 세상에서 각자 무엇을 할지 어떤 삶을 살지 숙고해야 하며 결국 자기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밖에 없다. 어쩌면 기성세대가 만들어 놓은 세상을 바꾸려고 몸부림치는 것보다 오늘 하루 흔들림 없이 살아가기 위한 정신무장이 더 필요한지도 모른다.                                                          -자유기고-양지원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금융위원회, 전북서 첫 지방 순회 '찾아가는 금융애로 해소 간담회' 가져
금융위원회가 1일 전북에서 처음으로 소상공인·지역주민의 금융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하는 '찾아가는 지방 금융애로 해소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자산운용 특화 금융도시를 목표로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추진 중인 전북에서 금융위원회의 첫 지방 순회 간담회가 열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진행된 이날 행사에서 전북자치도와 금융위 등은 금융 소외계층과 소상공인 지원 강화를 위한 '전북특별자치도-금융위원회 복합지원' 및 '소상공인 보험업권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과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 강락현 전북소상공인연합회장 등 소상공인 대표와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진흥원 등 유관기관, 전북은행·광주은행 등 금융기관장 20여 명이 참석했다. 복합지원 협약으로 도는 금융과 복지를 연계한 원스톱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한다. 취약계층이 편리하게 서민금융 및 채무조정 지원 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금융상담 서비스도 적극 추진한다. 보험업권 협약을 통해서는 3년간 20억 원 규모의 '보험업권 상생기금'을 조성해 소상공인 신용보험, 상해보험, 풍수해보험, 화재보험 등 각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