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군산~제주운항 재개1주년, 코로나에도 항공수요 높았다

▶2019년도(코로나19 이전) 9월 동기 대비 운항 편수는 24% 증가, 탑승객은 87% 수준 회복

▶도민 항공교통 편익제공 등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군산공항이 8일 군산과 제주를 잇는 항공노선 재개 1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코로나19 이전 대비 87% 수준의 탑승객을 보이며, 도민들의 높은 항공 수요를 나타냈다.

 

전북도는 8일 진에어와 제주항공이 군산~제주운항 증편 1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코로나19 위기에도 뛰어난 여객 운송실적을 기록하며, 코로나19에도 성공적 안착을 했다고 밝혔다.

 

전북도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도 9월 동기 대비 군산공항의 운항 편수는 24% 증가, 탑승객은 87% 수준까지 회복하며 지역 주민들의 교통 수요에 부응하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하고 지난 9월까지 1,756편이 운항하고, 이를 통해 약 19만 명이 군산공항을 이용하며 전북도민의 항공교통 편의를 크게 향상시켰다.

 

군산공항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정부 지침에 따라 공항 활성화 활동에 제한이 있지만, 코로나 종식 후 폭발적으로 증가할 승객의 편리한 여행을 위해 시설개선과 인력 보충에도 적극적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군산공항은 먼저 올 상반기 약 4억5천만 원을 투자하여 탑승 수속시설 일체를 개선하였다. 컨베이어벨트 신규 설치로 수하물 자동 운반시스템을 구축해 신속한 수하물 운반으로 여객과 항공사 편의를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기존 항공사별 개별적으로 사용하던 체크인카운터와 안내용 행잉 사인 등을 같은 모델로 통일하여 통합운영체계를 구축하였다. 향후, 항공사 변경 및 운항편수 증감 시 탄력적 대응으로 고객에게 빠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력 충원에 대한 투자도 아끼지 않았다. 보안검색원 증원으로 공항 이용객의 수속시간을 최소화하여 대기시간을 단축시켰고, 경비보안 인력을 증원하여 대테러 활동과 승객 안전을 강화하였다.

 

전북도 김광수 공항하천과장은 “앞으로도 도민의 항공교통 불편이 없도록 노력하겠다.”라면서, “새만금 국제공항이 개항되면 국제선이 취항하고, 국내 항공편수가 늘어나며, 항공기 결항 및 연착도 현저하게 줄어들 것이다.”라며, “새만금 국제공항 조기 개항에 총력 대응 중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군산공항은 군산~제주 노선 3편이 코로나19 등의 지난해 3월 전면 운항이 중단되었으나, 전북도에서 각고의 노력 끝에 진에어와 제주항공 취항을 이끌어 내 지난해 10월 8일부터 항공사별 각 2편 총 4편(왕복 8회)이 운항하고 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도, 1,215억 규모 벤처펀드 조성…3개 운용사 최종 선정
전북특별자치도가 도내 벤처기업의 성장을 견인할 대규모 펀드 조성에 나섰다. 도는 지난 10일부터 이틀간 개최한 전북 벤처투자위원회를 통해 ‘2025년 제2차 전북 혁신성공 벤처펀드’ 출자사업의 운용사 3곳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선정된 운용사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에 ‘인라이트벤처스’, ▲창업벤처(엔젤투자) 분야에 ‘안다아시아벤처스·KB증권 컨소시엄’, ▲산업기술혁신 분야에 ‘JB인베스트먼트’다. 이들 운용사는 전북자치도의 출자금 95억 원과 민간자금을 합쳐 총 1,215억 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하게 된다. 이번 출자사업은 민선 8기 핵심 투자정책 중 하나로,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지역 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자금난을 겪는 유망 기업에 실질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 특히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선정된 인라이트벤처스는 총 565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이 중 100억 원 이상을 전북 소재 중소·벤처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정읍시 기업에도 20억 원 이상을 배정하며, 새만금 산업단지,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등과 연계한 투자전략이 강점으로 평가됐다. 창업 초기 기업 대상 엔젤투자 분야에서는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