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수)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알림방

[모집]제9기(‘25~’26)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 신입생 모집

○ ’24.10.14~11.29일까지 15개 전공 300명(전공별 20명) 모집

○ 입학 후 2년간(’25.2~26.12) 전공별 이론ㆍ실습 및 국내외 현장교육 실시

○ 2,000여 졸업생, 농업분야 지역리더로 활약하며 농업소득 증대 기여


전북특별자치도 농식품인력개발원은 전문 농업경영인 양성을 위해 학업에 참여할 제9기(2025~2026) 신입생을 오는 10월 14일부터 11월 29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제9기 모집 인원은 일반인반 13개 전공과 청년농CEO반 2개 전공으로 구성된 총 15개 전공과목이며, 전공별 20명씩 총 300명을 모집할 계획이다.

 

※ 신입생 모집 개요

 

 

일반인 반 지원자는 해당 전공 품목을 5년 이상 재배 또는 사육한 경력이 필요하며, 나이 제한은 없다. 반면, 청년농CEO반 지원자는 영농 경력에 상관없이 40세 이하인 농업인이면 지원할 수 있다.

 

입학원서는 각 시ㆍ군 읍면동 주민센터와 농업기술센터, 3개 캠퍼스(전북농식품인력개발원, 전북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 교부받거나, 농식품인력개발원 홈페이지(https://agriacademy.jeonbuk.go.kr)에서 다운로드해 작성 후 우편 또는 방문 접수할 수 있다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에 입학하면 매주 1회 수업을 수강하며, 이론 및 실습을 통해 전문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또한, 국내외 품목별 우수 농장과 관련 기관을 방문하여 현장 학습을 진행한다.

 

특히, 해외 연수 기회도 제공되며, 제8기(2023~2024)의 경우 일본, 동남아, 네덜란드, 벨기에 등지에서 선진 농법을 배우는 시간도 가졌다.

 

이태수 농식품인력개발원장은 “현재 농업은 경영화, 스마트화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며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교육생들을 전문 농업경영인으로 성장시켜 도내 농업 분야의 지역 리더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은 농림축산식품부의 국비지원을 받아 2009년 제1기를 시작으로, 올해 제8기 졸업 예정자까지 총 2,000여 명의 교육생을 배출했다. 이들은 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으로 지역에서 농업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신입생 모집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농식품인력개발원(063-290-6425), 전북대학교(063-270-4152), 한국농수산대학교(063-238-9722)로 문의하면 된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행정업무 효율성 UP! 데이터취합 사용자 교육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25일 ‘교육행정데이터통합관리시스템(이하 교데통) 데이터취합 활용 역량 강화 교육’을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미래교육연구원에서 실시했다. ‘교데통’은 분산된 교육행정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 연계 및 분석해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교육행정의 생산성을 높이고 데이터 중심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번 교육은 도교육청, 교육지원청, 직속기관 근무자 중 희망 교직원 6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교데통 데이터취합’서비스 확대에 따라 시스템에 대한 현장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내용은 △교데통 주요 기능 안내 △데이터취합 활용 사례 △서식 관리 기능 활용 교육(서식 생성, 배포 방법, 데이터 입력 및 집계 결과 확인) 등으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 실질적인 활용 역량 향상을 도모했다. 채선영 정책기획과장은 “교데통 데이터취합 활용 교육을 통해 현장 교직원들이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하여, 행정 업무를 더 쉽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