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전북 미래차 대전환③] 전북, 전국 최초 특장차 전문단지 육성

○ 전주기 지원체계 기반 특장차 산업 고도화 추진

○ 특장차 박람회 통해 기업 경쟁력·대중 인식 동시 제고

 

 

 

전북자치도는 국내 최초로 특장차 전문단지를 조성하는 등 특장차 산업을 미래차 산업의 핵심 축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방위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존의 산발적이고 비효율적인 특장차 생산 구조에서 벗어나 설계·제작·검사·인증·연구개발·인력양성 등 전주기를 집적화한 산업단지 모델을 전국 최초로 실현함으로써, 지역 기반 산업을 첨단화하고 국내외 수요에 대응하겠다는 게 전북자치도의 비전이다.

 

먼저 전북자치도는 김제 백구면 일원에 20만 평 규모의 특장차 전문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1단계로 2016년 제1특장차단지(306억 원, 10만 평)를 조성했고, 2026년까지 제2특장차단지(687억 원, 10만 평)를 추가 확보해 총 60개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대규모 집적단지를 조성한다. 아울러 2027년까지 상생거점단지(249억 원)를 조성해 종사자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주거·생활환경 공간도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도는 특장차 산업의 전주기 지원을 위해 특장차 자기인증센터(132억 원)를 2017년 완공한 데 이어, 특장차 종합지원센터(84억 원) 및 검사지원센터(72억 원)를 2026년까지 구축해 생산, 인증, 튜닝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를 갖춘다.

 

기술개발과 인력양성도 함께 추진 중이다. 도는 시군구연고 미래형 특장차산업 전환 지원사업(14억 3천만 원)을 통해 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전문인력 거점공간 조성(50억 원)과 연계해 핵심인재 양성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특장차 안전·신뢰성 평가기반 구축사업(220억 원)을 통해 5톤급 전기소방차의 안전제어기술 등 신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등 도내 특장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끝으로 특장차 산업에 대한 대중 인식 개선과 기업 홍보를 위한 박람회도 매년 확대 개최되고 있다. 2023년 제1회 박람회를 시작으로 올해 9월 제3회 미래특장차 산업 박람회가 열릴 예정이며, 이를 통해 고기능 특장차 실물 전시, 바이어 초청, 산업교류 프로그램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해 왔다.

 

이번 박람회는 산업계뿐 아니라 시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 시승 행사, 교육 프로그램 등을 확대해 지역 축제형 산업박람회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도는 이를 통해 전북이 특장차 산업의 대중화와 산업 거점화를 동시에 실현하는 계기를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원식 전북자치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특장차산업은 전북이 미래차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 산업 중 하나”라며 “기반 인프라 구축부터 기술개발, 인력양성, 홍보까지 전방위 정책을 통해 특장차 산업을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육성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건강통계로 지역맞춤형 보건정책 추진... 전북,‘25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전북특별자치도는 도민 건강 수준을 면밀히 진단하고 지역 맞춤형 보건정책 수립을 위해 오는 7월 31일까지 ‘2025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실시한다. 올해 조사는 도내 14개 시군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1만2,37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번 조사는 「지역보건법」 제4조에 따라 지난 2008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으며, 시군 보건소가 전북대학교와 원광대학교 등 책임대학교에 위탁해 수행한다. 표본가구는 통계적으로 무작위 추출되며, 조사원들이 직접 가구를 방문해 태블릿PC를 활용한 1:1 면접 방식으로 조사가 이뤄진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지역주민의 건강실태를 파악하여 건강수준과 위험 요인을 다각도로 진단하고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보건사업 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사 내용은 △건강행태(흡연, 음주, 걷기 실천율) △식생활(아침식사 실천율, 영양표시 활용률) △만성질환 이환(혈압·혈당 수치 인지율, 혈압·당뇨병 진단 및 치료율) △정신건강(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률) 등 19개 영역 16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수행 절차는 ➀통계적 방법론에 의한 조사대상 가구 선정, ➁선정된 조사대상 가구에 안내서 우편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