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0.0℃
  • 흐림강릉 11.6℃
  • 흐림서울 13.1℃
  • 흐림대전 10.2℃
  • 박무대구 9.1℃
  • 구름많음울산 15.3℃
  • 구름많음광주 13.0℃
  • 구름많음부산 16.7℃
  • 흐림고창 11.4℃
  • 흐림제주 18.0℃
  • 흐림강화 11.9℃
  • 흐림보은 7.4℃
  • 흐림금산 7.1℃
  • 흐림강진군 12.4℃
  • 흐림경주시 7.3℃
  • 흐림거제 16.2℃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시군의원등 재산공개대상자 전북도 홈페이지 공개

전라북도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대상자 재산변동 신고사항 공개

▶ 전라북도 공직유관단체장, 시․군의원 등 200명 재산 변동사항 공개

▶ 평균 재산액 6억 3천285만 원, 작년대비 증가자 130명(65%), 감소자 70명(35%)

전라북도공직자윤리위원회는 시․군의원 등 관할 공개대상자 200명에 대한 2020년 정기 재산변동 신고사항을 2020. 3. 26.(목) 도보(전라북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고 밝혔다.

 

공개대상자는 2019. 12. 31. 기준으로 전라북도 공직유관단체장 6명과 시·군 의원 194명이며 본인과 배우자, 본인의 직계 존·비속의 재산 변동 내역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 도지사, 행정·정무부지사, 도의회 의원(39명), 시장·군수(13명) 등 공개

대상자 55명은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같은 날(3. 26.) 관보에 공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는 재산등록의무자가 공직자윤리법 제6조의 규정에 따라 매년 1월 1일(최초등록의무자로 된 날)부터 12월 31일까지의 재산변동사항을 다음해 3월 1일까지 신고해야 하며,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자윤리법 제10조에 따라 관할 공개대상자의 신고내역을 신고기간 만료 후 1개월 이내에 공개해야 한다.

 

 시․군 의원 등 전라북도 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대상자200명의 공개내역은 2020. 3. 26.(목) 00:00부터 전북도보(전라북도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라북도 홈페이지(http://www.jeonbuk.go.kr) ⟶ 전북소개 ⟶ 도정자료 ⟶ 전북도보

※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공개 대상은 대한민국 전자관보(http://gwanbo.moi.go.kr)를 통해 확인 가능

 

 전라북도 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대상의 재산규모 및 증감현황을 살펴보면,

 공개대상자의 평균 재산은 6억 3천285만 원으로 전년도 신고재산액 평균 대비 약 3,085만 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년) 6억 200만 원 ⇒ (’20년) 6억 3,285만 원

 정기 재산공개대상자 200명 중

1억 원 이상~5억 원 미만인 경우가 82명(41%)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1억 원 미만이 35명(17.5%), 20억 원 이상 보유자도 10명(5%)이다.

 

 

재산 증가자는 130명(65%), 재산 감소자는 70명(35%)으로 전년도 보다 재산 증가자는 9.38% 증가, 감소자는 8.75% 감소했다.

※ 2019년 공개대상자(202명)의 경우, 증가자 122명(60%), 감소자 80명(40%)임

 

 주요 증감요인을 살펴보면

증가요인은 개별공시지가, 공동주택·단독주택 공시가격, 주가 상승 등 가액 변동 요인의 상승과 급여(수입) 저축 등이며

 감소사유는 생활비·교육비 지출, 기존 신고대상의 고지거부 및 등록제외(사망, 직계비속인 자녀(딸)의 혼인 등)로 인한 재산 감소 등으로 신고되었다.

 

 전라북도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개자 전원을 대상으로 6월말까지재산 성실신고 여부,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 증식 여부 등을 엄정하게 심사하고,  재산을 거짓기재 또는 중대한 과실로 누락하거나 직무상 알게 된 기밀을 이용하여 재산을 증식한 경우 등은 그 경중에 따라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 또는 징계의결 요청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박해산 전라북도 감사관은 “재산의 취득과 상실 등 재산형성 과정에 대한 엄정한 심사로 부정한 재산증식 여부를 철저히 조사하여 도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공직사회 조성을 위해 노력 하겠다”고 밝혔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도, 재생의료특구 지정 위한 특별법 개정 본격화
전북특별자치도가 7일 전주 그랜드힐스턴에서 '재생의료특구 지정 특례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전북특별법」 개정을 위한 릴레이 세미나의 두 번째 순서로, 지난 1차에서 '사용후 배터리 이용 활성화 지원 특례'를 다룬 데 이어 마련됐다. 2차 세미나는 '재생의료특구 지정 특례'의 타당성과 추진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한 자리로, 재생의료 산업의 제도적 토대와 전북의 지역특화 전략을 구체화하는 논의가 진행됐다. 재생의료특구 지정 특례는 현행법상 재생의료 연구 및 치료 과정에서의 심의·승인 절차를 간소화하고, 신속한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첨단재생의료 특구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날 주제발표에는 ▲㈜메드비아 권주하 대표의 '재생의료의 제도적 기반과 규제현황' ▲전북대학교 강길선 교수의 '재생의료 기반 바이오산업의 전북 특화 발전전략'이 순서대로 진행됐다. 이어 전문가 토론에서는 전북테크노파크 김영훈 PS, 서울과기대 김환 교수, 전북대 조용곤 교수, 원광대 최태영 교수, 전북연구원 편지은 연구위원 등이 참석해 특구 지정의 당위성과 부처 설득 논리 등을 검토했다. 도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바이오·재생의료 분야의 산업화 기반을 다지고, 전북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