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전국체전 폐막-당초 목표 초과달성

금메달 19개 등 총 63개 메달 획득

 

 

 

제102회 전국체육대회에 출전한 전북 선수단이 전북 체육의 위상을 드높이며 전북도민들에게 기쁨과 감동을 선사했다.

 

14일 전라북도체육회(회장 정강선)에 따르면 지난 8일부터 이날까지 경북 일원에서 열린 전국체전에서 전북 선수단은 금메달 19개, 은메달 18개, 동메달 26개 등 총 63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대회를 마감했다.

 

이번 대회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대학·일반부는 치러지지 않고 고등부만 치러졌으며 도내에서는 36개 종목 461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고등부 경기만 열리면서 시·도간 종합순위는 매겨지지 않았지만 최종 집계결과 전북 선수단은 10위(금메달 획득기준)를 기록했고, 이번 메달 획득 수는 당초 목표를 초과달성한 것이다.

 

전북 선수단은 펜싱 에페 개인전에서 이나영(이리여고)이 첫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순조롭게 출발했다.

 

역도 임병진(순창고)은 인상과 용상, 합계 등 3관왕에 올랐고 레슬링 김경태(전북체고) 선수가 2003년 이후 18년만에 그레꼬로만형과 자유형 모두를 석권하면서 2관왕을 차지하였으며, 전국체전 출전 사상 남자 고등부 최초로 육상에서는 문해진(전북체고)이 100m와 200m를 석권하면서 2관왕에 올랐다.

 

또한 체급종목인 태권도와 레슬링을 비롯해 기록종목인 자전거와 사격 등에서 예상외 선전을 해주면서 금메달이 쏟아져나왔다.

 

아울러 축구 영생고와 농구 전주고 등 단체종목에서도 선수들의 투혼을 발휘했다.

 

도 체육회는 대회에 출전한 선수들의 사기 진작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해 전북스포츠과학센터 연구원들과 선수트레이너를 현장에 파견, 밀착지원을 펼쳤다.

 

전북 선수단 단장인 정강선 도 체육회 회장도 대회가 치러지는 모든 기간 경북에 머물며 각 종목 선수들과 지도자를 격려·응원했다.

 

도 체육회는 앞으로 전북체육 육성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전라북도와 전북도교육청, 시군체육회, 종목단체 등 유관기관과 협업체계를 더욱 굳건히하고 체육시설 인프라 구축과 학교체육 활성화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도 체육회 정강선 회장은 “이번 전국체전에서 전북 선수단이 보여준 투혼과 열정, 감동이 도민들에게 큰 힘이 됐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전북 체육의 위상을 드높이고 선수들이 오롯이 훈련에만 전념할 수 있는 깨끗하고 안전한 체육환경을 조성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특별법 개정 위한 3차례 세미나 개최…사용후 배터리 특례 첫 논의
전북자치도는 이달부터 3차례에 걸쳐 「전북특별법」 개정을 위한 입법과제 대응 전략 마련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제3차 특별법 개정 준비 과정에서 도출된 55건의 입법과제 중 전북의 주력 산업과 밀접한 3개 과제(사용후 배터리 이용 활성화 지원 특례‧재생의료특구 지정 특례‧재정 분야)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도는 이를 통해 개정 타당성에 대한 논거를 강화하고, 중앙부처 설득을 위한 정책 대응 전략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첫 순서로 이날 전주 그랜드힐스턴에서 '사용후 배터리 이용 활성화 지원 특례 세미나'가 열려 관련 특례의 법제화 방안이 검토됐다. 세미나에는 학계·연구기관·기업·공공기관 등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통상부와 기후환경부 등 관계 부처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정책 논거와 조문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주제 발표에서는 ▲김현수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이차전지 기술의 현재와 미래 전망'을 ▲박상호 전북대 교수가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기술 동향'을 각각 발표했다. 이어진 전문가 토론에는 하의현 전북연구원 책임연구원과 이진욱 성일하이텍 전무, 김우성 위드캠 대표, 최병철 특허법인 명륜 대표가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