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7.2℃
  • 맑음강릉 21.3℃
  • 맑음서울 17.4℃
  • 맑음대전 19.9℃
  • 맑음대구 19.2℃
  • 구름조금울산 19.3℃
  • 구름많음광주 19.5℃
  • 구름조금부산 19.7℃
  • 구름조금고창 19.1℃
  • 구름조금제주 20.9℃
  • 구름조금강화 15.1℃
  • 맑음보은 18.4℃
  • 구름조금금산 19.7℃
  • 구름많음강진군 19.4℃
  • 구름많음경주시 20.7℃
  • 맑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전북체고의 레슬링 저력 보여준 김경태·김도형 형제

 

제102회 전국체전서 금메달 3개 합작국내에서 가장 권위 있는 종합 경기대회인 전국체육대회가 최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경북 일원에서 열린 이번 제102회 전국체전은 코로나19 여파로 대학·일반부는 치러지지 않고 고등부 경기만 치러져 아쉬움을 남겼지만 전북 선수단은 선전을 펼쳐 금메달 19개와 은메달 18개, 동메달 26개 등 총 63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올렸다.

 

승패를 떠나 전북 대표로 대회에 출전한 461명의 모든 선수들이 주인공이지만 이 가운데 눈길을 끈 선수들이 있다. 바로 레슬링 김경태·도형 형제와 육상 단거리 2관왕에 오른 문해진 군이다.

 

이에 2차례에 걸쳐 미래 국가대표인 이들의 활약상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 한국 레슬링 이끌어갈 김경태·도형 형제

 

전북체육고등학교(교장 박재중)에 재학중인 김경태·도형 형제가 이번 전국체전에서 그야말로 일을 냈다.

 

금메달 사냥은 형인 김경태(3년)가 먼저 시작했다.

 

그레코로만형 67kg급에 출전한 김 군은 승승장구하며 결승전에 진출했고, 접전 끝에 최정상에 올랐다.

 

기세를 몰아 김 군은 자유형 70kg급에 출전해서도 압도적인 실력을 뽐내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레코로만형과 자유형 이른바 ‘양형’ 모두를 석권한 것은 지난 2003년 이후 18년만으로 전해졌다.

 

동생인 김도형(1년)도 자유형 53kg급에서 폴승을 거두면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도형 군은 첫 출전한 전국체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형의 뒤를 이어나갔고, 이들 형제는 금메달 3개를 전북 선수단에 안겨줬다.

 

형 경태 군은 체육교사의 권유로 중학교1학년때 레슬링에 입문했고 피나는 노력으로 2년 후 전국소년체육대회에서 금메달을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고등학생이 된 뒤에도 경태 군은 기복없이 좋은 경기를 펼쳐나갔고, 전국체전에 앞서 열린 올해 각종 대회에서도 금메달과 은메달을 차지하는 등 줄곧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전국체전에 출전하기 전 5일 연속 “2개의 금메달을 목에 거는 꿈을 꿨다”는 경태 군은 꿈이 이뤄졌다고 말한다.

 

경태 군은 “고등학생으로의 마지막 전국체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기쁘다”며 “대학에 진학해서도 더 열심히 훈련하고 노력해 세계선수권대회·아시안게임·아시아선수권대회 등을 우승한 레슬링 국가대표 류한수 선배처럼 훌륭한 선수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매트 위에서 경기를 펼치는 형의 모습이 멋져 레슬링을 시작했다는 동생 도형 군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이른바 기대주이다. 이를 증명하듯 자신의 첫 전국체전에서 쟁쟁한 2·3학년 선수들을 따돌리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도형 군은 “2022년, 2023년 전국체전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 전북체고, 전북 레슬링의 위상을 드높이겠다”며 “형의 뒤를 이을 수 있도록 더욱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전국체전에서 전북체고 레슬링부는 금메달 4개와 은메달 4개 등 총 8개의 메달을 수확했다. 이는 이준진 감독과 김정환·김신규 지도자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기에 가능했다.

 

김정환 지도자는 “선수들의 땀과 노력 그리고 학교와 전북교육청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기에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며 “전북 레슬링이 전국 최고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임진왜란 웅치 전적’ 종합정비계획주민설명회.. 완주·진안 공동 의견 반영
전북특별자치도는 14일 도청 공연장 세미나실에서‘임진왜란 웅치 전적 종합정비계획 주민설명회’를 열고, 사적지의 보수·정비 및 활용계획을 담은 주요 내용을 지역사회와 공유했다. 이번 설명회는 2022년 12월 국가 사적(史迹)으로 승격된‘임진왜란 웅치 전적’의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을 위해 수립된 종합정비계획을 주민들에게 공개하고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임진왜란 웅치 전적은 완주군과 진안군 경계에 위치한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도와 두 시군이 공동 협력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곳이다. 전북자치도는 완주·진안 양 군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지역 의견이 계획에 충분히 반영되도록 추진해왔다. 정비계획에는 사적지 구역 보존을 최우선으로 하여 ▲옛길 복구 및 탐방로 정비 ▲토지매입 ▲안내판·휴게시설·전망대 설치 등 종합적인 정비 방향이 담겼다. 특히 임진왜란 초기 열세 속에서도 호남을 지켜낸 관군·의병의 전투 의지를 보여주는 전적지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는 점이 강조됐다. 이정석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종합정비계획을 통해 웅치 전적의 원형을 보존하면서도 방문객이 체감할 수 있는 정비·복원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이번 계획은 향후 관련 사업의 기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