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전북도,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지원사업 추진

‘청년에게 일자리, 기업에게는 인건비’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기업과 청년을 연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올해 모두 105개 사업(누적), 청년 2,700명에 취·창업 지원

▶지역혁신형, 상생기반대응형, 지역포용형 등 3가지 유형 중점 추진

▶(기업)청년 채용시 2년간 월 160만 원, (청년)월 200만 원 이상 임금 보장

 

 

전북도는 지역 내 기업과 청년을 연계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전북도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으로 기존에 추진해 온 사업을 포함해 모두 105개 일자리 사업을 벌여 2,700명의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신규사업 대상은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만 39세 이하의 미취업 청년으로 60개 사업에서 1,000여 명을 모집한다.

 

이를 위해 전북도는 행정안전부「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공모사업으로 국비 206억 원을 확보했다.

 

이는 전체 국비의(2,237억원) 8.7%다. 전국 8개 광역도 중 경북, 전남에 이어 3번째로 많다.

 

올해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은 ① 지역혁신형 ② 상생기반대응형 ③ 지역포용형 3가지 유형이다. 청년들의 취·창업을 통한 경쟁력 형성과 자격증 취득·직무교육 등 다양한 역량 개발도 지원한다.

 

지역혁신형은 청년에게 직접 일자리를 제공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청년나래 일자리 지원사업 등 23개 사업에 700명을 지원한다.

 

청년을 신규 채용한 기업에게는 2년간 1인당 월 160만 원을 지원한다.

 

청년에게는 월 200만 원 이상의 임금 보장과 연 300만 원 상당의 자격증 취득·직무교육을 지원한다. 2년 근속 시에는 추가로 1,000만 원 인센티브도 지급한다.

 

 

상생기반대응형은 청년 창업 활성화를 통한 간접적인 청년일자리 창출하는 지원하는 사업이다. 청년창업 도전 지원사업 등 11개 사업에 140명을 지원한다.

 

임대료나 시제품 제작 등으로 연 1,500만 원 사업화 자금과 150만 원의 기타 지원비를 지원한다. 2~3차년도에 청년을 신규 고용하면 청년 1인당 월 200만 원의 인건비도 지급한다.

 

 

지역포용형‘은 사회적경제 분야 등을 연계해 청년에게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마이스산업 청년활동가 육성 지원사업 등 26개 사업에 120명을 모집한다.

 

청년을 신규 채용한 기업에는 1년간 1인당 최대 170만 원을 지원한다.

 

청년에게는 최저임금 이상 임금 보장과 연 200만 원 상당의 자격증 취득·직무교육을 지원한다.

 

또한 기존사업으로 청년전북 뉴웨이브 지원사업 등 45개 사업을 통해 1,700명을 지속 지원한다.

자세한 사항은 전라북도와 전라북도 일자리센터 누리집에 게재된 공고문을 확인하면 된다.

 

 

한편, 전북도는 지난해 국비 203억 원을 포함, 440억 원으로 지역 청년 2,540명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했다.

 

김용만 전라북도 일자리경제본부장은“청년은 곧 지역경제의 현재와 미래를 아우르는 경쟁력을 의미한다”며,“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타 지역으로 떠나지 않고 전북에 정착할 수 있도록 양질의 일자리를 발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소방, 무인파괴방수차로 특수재난 대응력 검증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본부장 이오숙)는 24일 군산시 중앙초등학교 훈련동에서 무인파괴방수차를 활용한 실건물 파괴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대형‧특수화재 대응체계를 실질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첨단 장비 운용과 전술 절차를 실제 현장 수준으로 재현해 진행했다. 특히 훈련의 전 과정에서 장비 운용, 지휘 통제, 안전 확보 절차를 단계별로 검증하며 실전 대응 완성도를 높였다. 주요 훈련 내용은 ▲파괴작업 시 차량의 구조적 안정성과 현장 적응성 검증 ▲최적 부서 위치 및 작업 반경 확인 ▲장비 운용 중 안전성‧효율성 점검 등으로, 실전 대응력을 다각도로 점검했다. 이번 훈련은 군산교육지원청과 군산중앙초등학교의 협조 아래 추진돼, 기관 간 협력과 재난대응 공조체계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훈련에 투입된 무인파괴방수차는 원격 조종으로 최대 21미터 높이까지 노즐을 전개해 4mm 철판과 160mm 두께의 콘크리트 벽을 관통할 수 있는 고성능 장비로, 소방대원이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고열‧폭발 위험 현장에서도 외벽이나 천장을 뚫고 내부에 소화용수를 직접 분사할 수 있다. 이 장비는 119특수대응단에 처음 배치된 이후, 전주시 여의동 자동차용품점 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