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구름많음동두천 12.8℃
  • 구름조금강릉 13.6℃
  • 구름많음서울 13.2℃
  • 구름조금대전 14.3℃
  • 맑음대구 13.4℃
  • 맑음울산 14.7℃
  • 맑음광주 13.5℃
  • 맑음부산 14.3℃
  • 구름많음고창 13.5℃
  • 흐림제주 14.2℃
  • 구름조금강화 13.3℃
  • 구름많음보은 11.9℃
  • 구름많음금산 12.2℃
  • 구름많음강진군 14.9℃
  • 맑음경주시 14.7℃
  • 맑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무주뉴스

이것이 무주군의 치매조기진단 동행 서비스다!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 사업 우수사례 선정

- 전국에서 34건 발굴, 전북서는 무주가 유일

- 치매고위험군 대상 치매조기검진 전문 인력 동행서비스로 전 국민 공감 얻어

 

무주군 ‘치매조기진단 동행서비스’가 전라북도에서는 유일하게 ‘2022년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 사업’ 우수사례에 이름을 올렸다.

 

‘2022년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 사업’은 행정안전부가 주민편익을 증진시킨 자치단체의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타 자치단체로 확산시켜 주민생활 향상에 기여한다는 취지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전국 지자체에서 시행 중인 510건의 우수사례 중 서면심사와 대국민 선호도 조사, 전문가 현장 검증을 통해 주민생활 불편을 해소하고 주민 편익을 증진한 우수사례(중점과제, 주민생활밀착, 탄소중립, 주민건강ㆍ안전개선, 복지 사각지대 해소, 지역경제 활성화 등 6개 분야) 34건을 발굴, 혁신정책장터(책자)를 통해 공유하고 있다.

 

무주군의 ‘치매조기진단 동행서비스(이하 동행서비스)’는 △주민생활 체감도와 △확산의 용이성, △혁신성, △지속 가능성, △예산의 적정성 등 5개 항목을 평가한 심사에서 두루 호평을 받아 주민건강ㆍ안전개선 분야에 선정이 됐다.

 

‘동행서비스’는 치매고위험군(선별검사결과 인지 저하 또는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 사각지대의 환자를 발굴하기 위해 지난 2020년 12월부터 무주군보건의료원 치매안심센터에서 추진 중인 것으로,

담당 공무원 등 전문 인력이 가족을 대신해 60세 이상 군민의 치매조기진단을 위한 병원검진부터 처방전 확인과 약품 구매, 귀가까지의 전 과정을 돕고 있다.

 

무주군보건의료원 보건행정과 이동훈 과장은 “이 서비스를 통해 그동안 171명이 동행검진을 받았고 133명이 치매환자 진단을 받은 상태”라며

 

“치매는 조기진단만 되면 중증 상태로의 진행을 늦출 수 있어 조기발견과 치료가 중요한데 병원까지 이동수단 확보가 힘들고 보호자의 돌봄 부담도 커 검진을 포기하는 분들이 많아 동행서비스 추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무주군치매안심센터에 치매고위험군으로 등록된 대상자 중 협약병원 진단검사를 원하는 군민이면 누구나 동행서비스 신청이 가능하다”라며 “건강한 삶을 오래 유지하고, 치매어르신과 가족 모두의 고통과 부담을 줄이기 위해 큰 관심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동행서비스 관련 상담 및 문의는 무주군보건의료원 치매안심센터로 (063-320-8604)하면 된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교육청, 교육공무직 노조 총파업 '총력 대응'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오는 21일 예정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에 따른 학생, 학부모 불편 최소화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오는 20일, 21일, 12월 4일과 5일 총 4회에 걸쳐 권역별로 총파업을 예고했다. 전북 등 호남권 총파업은 21일로 예정되면서 급식·돌봄·특수교육, 유아교육 등 학교 현장 불편 최소화를 위한 대응 방안을 마련, 지난 11일 각급 학교에 안내했다. 파업 예고 및 직종별 현장 상황을 고려한 대응 방안을 담아 학교 현장의 혼란을 줄이고 대응력을 높이고자 했다. 19일에는 본청 각 부서와 교육지원청 업무 담당자 회의를 통해 급식 등 학교 취약 부문에 대한 점검 및 정상적인 교육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당부했다. 특히 학교급식과 관련해서는 △학교에서 파업에 참여하는 종사자 규모를 고려한 식단 조정 △빵·우유 등 대체 급식 제공 △도시락 지참 △교육과정 조정 등 학교별 여건에 맞게 운영하도록 안내했다. 이와 함께 △통합 돌봄 운영 △정규교육과정 종료 후 하교 시까지 교실 개방 등을 통해 돌봄 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한편 파업 전일과 당일에는 본청, 교육지원청, 각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