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국산쌀로 지원하는 식량원조.. 최대957억 손해-안호영 의원

- 국산쌀로 해외원조 시작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쌀 매입대금 연 평균 800억원 손해

- 2021년 국산쌀값 인상으로 국산쌀 매입대금 증가하고, WFP 판매대금 인하해 최대 손실 발생

- 국산쌀 매입대금과 WFP 쌀 판매대금 격차 ‘18년 553.5억원, ’19년 677억원, ‘20년 923억원

- 수입쌀로 식량원조 한 올해 쌀 매입대금과 WFP판매대금 차액 321억원에 불과

- 안호영 의원, “식량원조 수입쌀로 할 경우 손실 적어, 즉시 식량원조 수입쌀로 바꾸어야”

정부가 매년 5만톤씩 국산쌀로 지원하는 해외원조에서 정부가 구매하는 쌀가격과 국제 식량 원조기구인 WFP(유엔식량원조계획)에 판매하는 쌀 가격 차이가 상당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회 농해수위 안호영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완주·진안·무주·장수)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국산쌀로 해외원조를 시작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년 동안 정부의 쌀 매입대금과 WFP에 쌀을 판매한 대금에서 연 평균 800억원 정도 차액이 발생하였다. ※<참고1> 식량원조시 쌀 매입대금과 WFP 판매대금 차액

 

우리나라는 2018년 식량원조협약(FAC)에 가입을 했고, 국제기구 WFP를 통해 매년 5만톤의 국산쌀을 저개발국에 지원하고 있다. 정부가 매년 5만톤에 상당하는 분담금, 최소 460억원 이상을 WFP에 보내면 WFP가 국산 쌀을 구매해 지원 대상국으로 운송, 배급한다.

식량원조에 판매되는 쌀은 국내에서 생산된 쌀로 방출 연산은 원조 실시년도보다 2개년 전에 생산된 미곡이다. 원조용 쌀 판매가격은 FAC 장립종 국제가격을 참조하여 정한다.

 

2018년 식량원조 사업 수립 당시 계상된 원곡대는 톤당 391달러, 즉 5만톤은 225억원이었다. 하지만, 정부가 WFP에 판매한 2015년산 쌀 매입가격은 1kg당 1,557원이었고, 쌀 5만톤을 환산하였을 때 778.5억원이었다.

 

2019년 원조에 사용된 국산쌀 매입가격은 913억원(2017년산, 1,825원/1kg)이었고, WFP에 판매한 가격은 236억원(판매단가: 405$/톤)으로 차액은 677억원이었다.

 

2020년 쌀 매입가격은 1,116억원(2018년산, 2,232원/1kg), 판매가격은 184억원(판매단가: 312$/톤)으로 차액이 923억원으로 급등했다. 이는 국내 쌀가격 인상으로 국산쌀 매입대금은 증가했고, WFP 판매단가는 하락했기 때문이었다.

 

2021년 식량원조의 경우에도 정부의 국산쌀 매입자금은 1,141억원(2019, 2283원/1kg), WFP 판매가격은 184억원(판매단가: 312$/톤)으로 957억원의 차액이 발생하였다. 차액은 양특회계 재무재표상 손실로 처리된다.

 

올해 식량원조는 2020년산 국산쌀 재고부족으로 처음으로 수입산쌀이 사용되었다. 정부는 식량원조 5만톤 중 5천톤은 국산쌀, 2만 2,500톤은 태국산쌀, 2만2,500톤은 베트남쌀 등 해외 수입쌀을 원조에 사용하였다. ※ <참고 2> 2022년 식량원조 시 쌀 매입대금(국산, 수입산), WFP 판매대금(판매단가 표기)

 

국산쌀 5천톤에 대한 매입대금이 130억원이었고, 태국산 쌀 매입대금은 146억원, 베트남산쌀 매입대금은 169억원으로 확인되었다. 국산쌀과 수입산쌀을 혼용하여 WFP에 판매한 대금은 124억원으로 차액은 321억원이었다.

 

안호영 의원은 “지난 2월, 문재인 정부는 처음으로 수입쌀로 해외 원조를 하였고, 수입쌀도 해외원조가 가능함이 국제적으로 확인된 만큼 식량원조 비용 절감을 위해 수입쌀로 해외원조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국산쌀을 사용하여 식량원조사업을 추진하였을 경우 연 평균 800억원 상당의 손실이 발생하지만, 수입쌀을 사용하는 경우 300억원 손실이 발생하는 등 경제성 측면에서 상당한 비용 절감 효가가 발생함을 고려하여 정부는 즉시 식량원조 쌀을 수입쌀로 바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안의원은 “수입쌀 중에서도 밥쌀용 쌀 4만톤을 국내 반입 후 곧바로 해외원조 한다면 보관비용도 감축되고 국내 쌀값 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내륙형 수상레저의 중심지 ‘구이 수상레저단지’ 준공
전북특별자치도가 내륙형 수상레저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할 ‘구이 수상레저단지’를 완공하고 수상레포츠 관광 활성화에 나섰다. 전북자치도는 23일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일원에서 ‘구이 수상레저단지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준공식에는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 유희태 완주군수, 지역 정치권 인사와 군의원, 주민 등 300여 명이 참석해 단지의 완공을 함께 축하했다. 이번 사업은 총사업비 146억 원을 투입해 2017년부터 9년간 추진된 대규모 프로젝트로, 약 1만585㎡ 부지에 수상레포츠안전교육센터(499㎡), 계류시설(240㎡), 주차장, 편의시설 등이 조성됐다. 특히 본관동인 수상레포츠안전교육센터는 카누, 카약 등 무동력 수상레저기구를 중심으로 한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으로, 도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친수형 복합레저공간으로 활용된다. 전북도는 이번 구이 수상레저단지와 조성 중인 군산 무녀도 광역 해양레저체험 복합단지를 연계해 해안권과 내륙권을 아우르는 ‘전북형 수상레포츠 관광벨트’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관광객 유입 확대와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수상레포츠 산업의 기반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체험·교육·치유형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