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구름조금동두천 11.3℃
  • 구름조금강릉 13.3℃
  • 구름많음서울 12.2℃
  • 구름조금대전 14.2℃
  • 맑음대구 12.5℃
  • 맑음울산 13.4℃
  • 구름조금광주 10.0℃
  • 맑음부산 13.4℃
  • 구름많음고창 12.1℃
  • 구름많음제주 14.4℃
  • 흐림강화 12.4℃
  • 구름많음보은 11.6℃
  • 구름많음금산 12.4℃
  • 구름많음강진군 12.0℃
  • 맑음경주시 13.2℃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바다의 반도체 김, 육상에서 키운다!

○ 김 육상양식 국제 심포지엄 개최… 지속 가능성을 위한 국제적 해법 모색

○ 전북자치도-공주대-(주)풀무원 김 육상양식 선구자 자리매김

○ 전북, 김 육상양식 기술로 수산업의 새로운 미래 제시

 

 

전북특별자치도는 5일 전주 라한호텔에서 ‘김 육상양식 국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하며, 기후 변화와 해양 환경 변화 속에서 김 양식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국제적 논의의 장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국립공주대학교가 주관하고 전북자치도와 ㈜풀무원이 후원했으며, 김 양식 산업의 학술적 접근 방법과 기술적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심포지엄에는 일본 도쿄대학교 Kyosuke Niwa 교수, 일본 사가대학교 Kei Kimura 교수, 중국 해양대학교 Dongmei Wang 교수 등 김 양식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들이 초청되어 강연을 진행했다. 또한, 국립공주대학교와 ㈜풀무원을 포함한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해 학술적 깊이를 더했다.

 

또한, 국립공주대학교 김광훈 교수가 좌장을 맡아 기후 변화와 해양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김 육상양식 기술개발과 탄소 저감 연구를 핵심 의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이끌었다.

 

전북자치도는 최근 해수 수온 상승*과 해양오염, 어촌 고령화 등 어장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김 양식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2022년에는 ㈜풀무원과 김 육상양식 관련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023년부터는 국립공주대학교와 국립군산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교, ㈜풀무원의 연구진과 함께 김 육상양식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 최근 50년간 서해안은 1.23℃ 증가

** 전북자치도-㈜풀무원 업무협약(MOU)체결(‘22.9.16.)

 

전북자치도 수산기술연구소는 이미 육상 김 모조 관리와 유엽 대량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육상 김 양식 핵심기술인 유엽 배양기간 단축, 생산량(수율) 증대, 대량생산(규모화) 기술개발을 통해 4톤 수조(4개)에서 연중 김을 생산하고 있다.

 

㈜풀무원도 김 육상양식 연구에 박차를 가하며, 생산된 물김을 활용한 ‘들께물김칼국수’의 상용화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었으며, 10톤 규모의 수조에서 김 육상양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북자치도와 ㈜풀무원, 국립공주대학교는 김 육상양식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내년도에 ‘지속가능한 우량김종자생산 및 육상양식 기술개발’ 국가 R&D 사업(’25~’29, 350억원) 공모를 준비하고 있다.

 

공주대학교 관계자는 “국립공주대학교는 전북자치도와 ㈜풀무원과 협력하여 김 육상양식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번 국제 심포지엄을 통해 각국의 연구자들과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미정 전북자치도 새만금해양수산국장은 “이번 국제 심포지엄은 김 육상양식의 현황과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라며, “전북이 김 양식 산업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며 지역 수산업의 핵심 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교육청, 교육공무직 노조 총파업 '총력 대응'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오는 21일 예정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에 따른 학생, 학부모 불편 최소화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오는 20일, 21일, 12월 4일과 5일 총 4회에 걸쳐 권역별로 총파업을 예고했다. 전북 등 호남권 총파업은 21일로 예정되면서 급식·돌봄·특수교육, 유아교육 등 학교 현장 불편 최소화를 위한 대응 방안을 마련, 지난 11일 각급 학교에 안내했다. 파업 예고 및 직종별 현장 상황을 고려한 대응 방안을 담아 학교 현장의 혼란을 줄이고 대응력을 높이고자 했다. 19일에는 본청 각 부서와 교육지원청 업무 담당자 회의를 통해 급식 등 학교 취약 부문에 대한 점검 및 정상적인 교육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당부했다. 특히 학교급식과 관련해서는 △학교에서 파업에 참여하는 종사자 규모를 고려한 식단 조정 △빵·우유 등 대체 급식 제공 △도시락 지참 △교육과정 조정 등 학교별 여건에 맞게 운영하도록 안내했다. 이와 함께 △통합 돌봄 운영 △정규교육과정 종료 후 하교 시까지 교실 개방 등을 통해 돌봄 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한편 파업 전일과 당일에는 본청, 교육지원청, 각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