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경북대학교병원(고혜진 교수팀)과 함께 큰광대노린재의 향이 인간의 뇌에서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영역을 활성화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진은 큰광대노린재 향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 참여자 37명에게 큰광대노린재 향과 대조향(알코올)을 맡게 한 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찍어 비교했다.
그 결과, 큰광대노린재 향에 노출됐을 때 뇌의 후각 네트워크뿐 아니라 전두엽 영역이 더 넓고 강하게 활성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두엽은 기억, 언어, 감정, 공간 감각 등 인지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후각은 대뇌변연계*와 직접 연결돼 있으며, 이는 생리학적으로 향이 감정‧기억 회로를 자극할 수 있음을 뜻한다.
* 대뇌변연계: 방어와 생식 등 생존 관련 반응에 대한 감정‧기억과 관련된 뇌의 부분
알코올 향을 맡았을 때보다 큰광대노린재 향을 맡았을 때 참여자들의 뇌에서 후각과 정서 반응에 관련된 영역*의 혈류가 증가하는 것이 뚜렷하게 관찰됐다.
* 롤란딕 오페큘럼(구강 및 후각 처리와 관련된 영역), 섬엽(감정처리, 내적 상태(스트레스, 불안) 인식 영역), 좌측 전반대상피질(감정조절, 의사결정, 인지처리 영역)
특히 큰광대노린대 향을 맡았을 때 전두엽 하부*, 해마**, 두정엽 하부***, 좌측 중간 전두엽**** 영역에서 유의한 활성 증가가 나타났다. 이들 영역은 작업기억, 감정 조절, 언어 처리, 자아 인식, 기억 회상 등 고차 인지기능에 관여하는 뇌 부위다.
* 전두엽 하부: 감정 조절, 언어 및 의사결정과 관련된 영역
** 해마: 기억 형성, 회상, 정서 처리에 관여하는 대뇌변연계의 핵심 구조
*** 두정엽 하부: 감정 공감, 자기 인식에 관련된 영역
**** 좌측 중간 전두엽: 작업기억, 주의력 조절, 의사결정, 감정 조절에 중요한 역할
농촌진흥청은 큰광대노린재가 정서곤충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확인한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큰광대노린재 향을 활용한 정서곤충 기반 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지금까지 왕귀뚜라미, 호랑나비, 누에, 장수풍뎅이 등 곤충자원 4종을 활용한 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해 우울‧스트레스 감소, 행복감 증가 등 치유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한편, 큰광대노린재는 노린재목 광대노린재과의 곤충으로 몸 전체가 광택이 있는 금녹색을 띠며 붉은 줄무늬가 있다. 다른 곤충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사과와 계피를 섞은 듯한 특별한 향을 풍긴다.
회양목을 기주식물로 삼아 생활하고,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실내에 회양목 화분을 두고 사육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산업곤충과 변영웅 과장은 “이번 연구로 그동안 행해지던 관찰, 사육, 촉각 중심의 접근에서 한 발 나아가 후각이라는 감각자극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곤충 기반 치유프로그램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라며 “ 이를 근거로 다양한 정서곤충 자원의 활용 방안을 넓히는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