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전북도-새만금청, '새만금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공동 대응 본격화

○ 새만금 전문가협의회 워킹그룹,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대응 전략 논의

○ 새만금개발청, 1호 산업 ‘헴프 클러스터’ 전북과 공동 대응

○ 전북도, 헴프·첨단재생의료 등 전략산업 실증 추진으로 글로벌 테스트베드 도약

 

전북특별자치도가 새만금개발청과 협력해 국정과제인 '새만금 글로벌 메가샌드박스'를 규제혁신 글로벌 테스트베드로 발전시킬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전북자치도와 전북연구원은 29일 연구원에서 새만금개발청과 「새만금 메가샌드박스 실현을 위한 전북자치도-새만금청 협력회의」를 열고,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대응 전략'과 '헴프 산업 육성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전북자치도와 새만금청은 ‘새만금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1호 산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헴프 산업 클러스터'를 공동 대응 과제로 정하고, 입지·공간계획과 산업·투자유치 전략을 연계해 제도 시행과 동시에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기로 했다. 특히 새만금 내 헴프 재배부터 연구·가공·의약품 생산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기반을 구축하고, 관련 규제특례 제도화를 위한 연대 시스템도 강화한다.

 

회의에서는 선도모델로 제시된 ▲헴프 산업 클러스터 ▲첨단 재생의료 실증 허브의 도입 당위성과 산업적 의미도 공유됐다. 두 분야의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과 규제특례 적용 세부 방안도 검토했다.

 

헴프 산업은 2030년 글로벌 시장 규모가 약 1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첨단재생의료는 차바이오텍과의 업무협약 체결 등을 통해 국내 주요 기업들의 투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전문가협의회 워킹그룹을 상시 운영하며, 규제특례 및 제도개선 과제를 분야별로 세밀하게 다룰 예정이다. 오는 11월 제2차 새만금 정책포럼에서는 국회의원실과 중앙부처, 학계 전문가 등이 글로벌 메가샌드박스의 제도적 정착 방안을 본격 모색한다.

 

김미정 전북자치도 새만금해양수산국장은 "새만금개발청과의 긴밀한 공조가 이뤄진 이번 회의를 통해 새만금 글로벌 메가샌드박스가 실행 가능한 제도로 자리 잡는 출발점이 됐다"라며 "헴프 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축으로 국내외 기업 투자 유치가 현실화되도록 적극 지원하고, 새만금이 차세대 전략산업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도, '26년 국가예산 ‘국회단계 총력전’돌입
전북특별자치도가 2026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한 ‘올인’ 전략에 돌입했다. 도는 16일 도청에서 김관영 지사 주재로 행정·경제부지사, 정무수석, 실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6년 국가예산 국회단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정부예산안이 국회에 제출되고 본격적인 상임위 및 예결위 심의가 시작되기 전, 도정 핵심사업에 대한 반영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이 자리에서는 정부안 단계에서 과소·미반영된 70대 중점 사업에 대한 국회 단계 증액 추진 상황과 대응 계획이 논의됐다. 도는 국회단계 예산 증액을 위해 서면질의서 작성과 감액 방어자료 마련 등 실무 중심의 대응 사업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지휘부가 직접 기재부 및 국회 주요 인사를 만나 증액의 필요성을 설득한다. 지역 및 연고 국회의원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정치권 공조 체계도 구축한다. 주요 쟁점 사업을 점검하기 위한 전략회의를 정례화하고, 오는 27일부터 국회 본회의 의결 시까지 도 및 시군 국회 상주반을 운영해 실시간 심사동향 파악과 즉각 대응 체제를 유지한다. 특히 10월 말부터 11월 중순까지 기재부 장관, 제2차관, 예산실장, 예산심의관 등과의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