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시선I

[기고] 깨 · 알 · 누 · 사

최근 이태원 참사로 심정지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 중요성 및 관심이 증가하여 소방관서에 심폐소생술 교육을 요청하는 기관·단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때로는 언론을 통해 초등학생이 심정지 환자를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소중한 생명을 구하는 보도를 접하곤 한다.

 

심폐소생술의 골든타임은 4분 이내로 심장이 멈춘 후 1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경우, 생존율은 97%, 2분 이내의 경우 90%에 이른다. 심장이 멈춘 후 4분 이상 경과하면 뇌에 산소공급이 중단되어 환자가 깨어나더라도 2차 손상으로 후유증이 남거나, 뇌사상태에 빠질 수 있다. 최초 목격자의 즉각적인 심폐소생술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소방관서에서는 생명을 살리는 기적 심폐소생술(깨.알.누.사)을 집중 홍보하고 있다.

 

. 환자 의식이 있는지 확인한다(깨운다). 환자의 어깨를 좌우로 흔들지 말고 가볍게 두들기며 의식을 확인한다.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환자의 호흡이 없거나 호흡이 비정상적인 경우도 마찬가지다.

. 119에 신고한다(알린다). 심정지 발생이 맞는다면 119에 신고한다.

. 가슴 중앙을 누른다. 환자를 평평한 곳에 눕힌 다음 가슴 중앙에 있는 단단한 가슴뼈(흉골) 아래쪽 절반 부위에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대고 양팔을 쭉 편 상태로 체중을 실어 환자의 가슴을 압박한다. 이때 본인의 어깨는 환자의 흉골이 맞닿는 부위와 수직이 되게 위치시킨다. 본인의 체중을 이용해 5cm 이상 깊이로 분당 100~200회 정도 강하게 빠르고 깊게 눌러준다.

.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한다. 주위에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비치돼 있다면 도움을 요청해 가져와 사용한다. 자동심장충격기는 전원을 켜면 음성 안내에 따라 사용하면 된다. 심장충격기 패드를 부착하고 커넥터를 연결하면 2분마다 심전도를 분석해 충격이 필요한지 필요하지 않은지 음성으로 안내한다. 충격이 필요한 경우 충격 버튼을 누르고 심폐소생술을 한다. 충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된다.

 

최초 목격자는 119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계속 시행해야 한다.

 

심폐소생술은 이젠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심장이 멈춘 사람에게 현장에서 할 수 있는 최고의 응급처치는 바로 심폐소생술이다. 사람을 살리는 술기 심폐소생술에 대해 정확히 숙지하고 있다면 갑작스러운 상황에도 내 두 손을 이용하여 사랑하는 가족과 이웃에게 새 생명을 안겨주는 기적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예방안전팀장   유형탁  -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청년이 머무는 전북...‘하우와우 미래캠프’ 본격 운영 돌입
청년의 실질적 성장과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하우와우 미래캠프’가 2기 출범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8일 전주대학교 하림미션홀에서 청년인재 성장 프로젝트인 ‘하우와우 미래캠프 2기’ 발대식을 개최하고, 도내 대학생 100명과 전문 멘토 43명 간의 멘토-멘티 결연을 공식적으로 체결했다. 하우와우 미래캠프는 도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산업 분야 실무 전문가와 멘토-멘티 관계를 맺고, 팀별 프로젝트와 현장 체험 등을 통해 역량을 키우는 프로그램이다. 전북자치도는 올해 캠프에 도내 6개 대학 3학년 이상 재학생 100명을 선발했다. 청년들은 ‘성장 의지’와 ‘발전 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됐으며, 첨단산업·디지털, 에너지·모빌리티, 농생명·바이오, 로컬콘텐츠 등 4개 분과에 배치돼 분야별 전문가와 그룹 활동을 진행한다. 멘토는 전북 출신 기업 대표, 연구자, 교수, 공공기관 임원 등 도내외 전문가 43명으로 구성됐다. 각 분야의 실무 경험과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청년의 진로 탐색을 돕고, 지역 산업과 연결되는 실질적 진로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이들은 연말까지 캠프 운영을 통한 단기 교육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 관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