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78%는 아파트를 비롯해 연립주택, 다세대주택과 같이 여러 가구가 모여 사는 공동주택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 가운데 아파트의 비중이 80%를 넘어서고 있다. 국민 대다수가 거주하는 생활공간인 아파트는 구조적‧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시설보다 화재 위험성이 높고 대피 안전성은 취약한 상황이다.
지난 4일과 5일 연달아 익산시 소재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데 두 건의 화재사고 피해자 대다수가 고령의 노인층으로 다수의 주민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대피하는 과정에서 연기를 흡입하거나 넘어지면서 부상 당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아파트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피해가 생길 확률이 매우 높다.
겨울철을 맞이하면서 무분별한 난방기기 사용과 주방용품 사용 부주의 등으로 아파트 화재가 빈번해지고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베란다 문을 닫고 있기 때문에 조기에 파악하기가 어려워 대피 시간이 지연되며 계단 및 승강기를 통한 연기 확산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아파트 화재 시 인명피해는 대피 중 또는 화재진압 중에 많이 일어나는 만큼 무조건적인 대피는 위험하며, 화재 상황 등을 판단해 올바르게 대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집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현관을 통해 대피할 수 있으면 계단을 이용해 젖은 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고 낮은 자세로 지상층이나 옥상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만약 현관 입구 등에서의 화재로 대피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대피 공간이나 경량 칸막이 등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해 대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다른 세대나 복도, 주차장 등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는 본인 집으로 화염 또는 연기가 들어오지 않는다면 세대 내에서 대기하며 화재 상황을 주시하고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는 것이 좋다.
그러나 집으로 화염 또는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라면 집에서 불이 났을 때와 같이 대피공간으로 이동하는 등 상황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아파트는 다른 층으로 연소가 확대되는 경우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피하는 도중에 연기 질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실내에 연기가 들어오지 않을 때는 무조건적인 대피보다는 실내에 대기하면서 창문 등 연기 유입통로를 막고, 안내방송에 따라 행동하는 편이 더 안전하기 때문이다.
화재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 모두가 동참해 아파트 환경에 맞게 상황별로 어디로 어떻게 대피할 것 인지 계획을 세우고 대피경로를 작성 하고 공유하여 숙지해야 한다.
실제 상황은 계획대로 되지 않을 것이나, 사전에 계획도 세워보지 않으면 실제 상황에서 공황에 빠져 대피 시간을 놓치거나 잘못된 판단으로 생존을 위협받게 된다. 스스로 지속적인 관심과 훈련을 통해 가족들의 안전과 소중한 재산을 화재로부터 지킬 수 있기를 바란다.
-진안소방서 소방장 신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