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1℃
  • 구름많음강릉 33.2℃
  • 구름많음서울 29.6℃
  • 흐림대전 28.2℃
  • 흐림대구 29.5℃
  • 구름많음울산 27.6℃
  • 흐림광주 27.1℃
  • 흐림부산 26.3℃
  • 흐림고창 27.0℃
  • 제주 23.3℃
  • 구름많음강화 24.4℃
  • 흐림보은 27.4℃
  • 흐림금산 27.1℃
  • 흐림강진군 25.1℃
  • 구름많음경주시 31.0℃
  • 흐림거제 25.3℃
기상청 제공

시선I

[기고]"먹다가 컥! 기도 막히면 배꼽·명치 중간 힘껏 쓸어올려!"

최근 '한 식당에서 식사를 하던 손님이 갑자기 숨을 못 쉬고 괴로워하며 쓰러졌는데 마침 근처에서 식사하던 손님이 빠르게 응급 조치를 했다' 라는 뉴스가 보도 된 적이 있다.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응급처치법으로는 심폐소생술이 있지만 한 가지가 더 있는데, 음식물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숨을 쉬는 기관인 기도로 흡인되었을 때 할 수 있는 응급처치법 바로 ‘하임리히법’이다.

 

우리 뇌세포는 4~6분 동안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심하게 손상되고 죽게 되며, 심한 상기도 폐쇄는 빠른 응급 처치가 필요하며, 즉시 치료가 되지 않는 다면 뇌 손상, 호흡부전,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게 된다.

 

기도 폐쇄는 주로 응급상황인 경우가 많기에, 갑자기 응급상황이 발생한다면 119에 즉시 연락을 해야 하고, 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하임리히법’을 계속해서 실시해야 한다.

 

우선, 환자가 목을 감싸며 괴로워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숨을 쉬는 등 숨쉬기를 힘들어하면 기도 폐쇄로 판단하고 환자가 숨을 쉴 수 있고 기침할 수 있다면 기도가 완전히 막힌 상태는 아니니 이때는 환자의 등을 두르려 주며 계속 기침하게 하면서 기도를 유지 해야 한다.

 

만일 숨을 못 쉰다면 기도가 완전히 막힌 상태로 신속하게 하임리히법을 시행해야 한다. ‘하임리히법’은 환자의 등 뒤에 서서 주먹을 환자의 배꼽과 명치 중간 정도에(엄지손가락이 배에 닿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다른 손으로는 주먹을 감싸 쥐고 한쪽 다리는 환자의 다리 사이로 다른 한쪽 다리는 뒤로 뻗어 균형을 잡은 상태에서 팔에 강하게 힘을 주며 환자의 배를 안쪽으로 누르면서 상측 방향으로 5회 당겨준다. 등 두드리기와 ‘하임리히법’을 이물질이 제거되거나 119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5회씩 반복해 준다.

 

기도폐쇄 환자가 비만이거나 임산부인 경우에는 가슴밀어내기 법을 시행해야 한다. 가슴밀어내기 법은 환자를 서게 하거나 앉힌 뒤 환자 뒤에 서서 팔을 환자의 겨드랑이 사이에 넣어 가슴을 감싼다.

 

한 손은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 쪽을 흉골 중앙에 대고 반대편 손바닥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싼다. 이후 양손으로 환자의 가슴을 빠르게 수평으로 압박한다. 환자가 의식을 잃는 경우에는 심정지 상태로 판단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영‧유아의 경우 주로 장난감, 동전, 사탕 등이 기도를 막아 발생하며 성인에게 하는 처치법과는 방식이 다르다. 보호자는 팔 위에 영‧유아가 바닥을 보도록 눕히고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이용해 턱을 고정한다.

 

팔을 허벅지 위에 올린 후 다른 쪽 손바닥으로 영아의 등을 5회 정도 두드리고, 뒤집어 가슴 누르기를 5회 실시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물질이 제거될 때까지 반복 시행한다. 영아는 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손상의 위험이 있어 복부 압박은 하지 않는다. 만일 영아의 의식이 없다면 마찬가지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된다.

 

기도 이물 폐쇄의 원인은 대부분 음식물이다. 기도 폐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먹을 때 잘게 썰어 여러 번 꼭꼭 씹어야 기도가 막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처럼 언제 어디서나 기도 폐쇄 환자를 접할 수 있다. 나의 소중한 가족이 될 수도 있고 주변 사람이 될 수도 있으니 기도 폐쇄 처치 요령을 잘 숙지해서 안전한 일상생활이 되시길 바란다.

 

   -진안소방서 소방장 신나리-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