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구름조금동두천 13.6℃
  • 구름조금강릉 13.8℃
  • 구름많음서울 15.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4.9℃
  • 맑음울산 15.4℃
  • 구름많음광주 17.5℃
  • 맑음부산 17.1℃
  • 구름많음고창 14.9℃
  • 흐림제주 18.8℃
  • 구름많음강화 14.2℃
  • 구름조금보은 13.1℃
  • 구름조금금산 12.6℃
  • 구름많음강진군 15.0℃
  • 맑음경주시 14.2℃
  • 구름조금거제 14.0℃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매실’ 씻고 자르고 씨 빼고 절이는 전 과정 기계화!

국립농업과학원 현장 실용화 성과..노동력 줄이고 제품 가공 쉬워져

 

 

 

농촌진흥청은 다양하고 부가가치 높은 매실 가공품을 쉽게 생산할 수 있도록 매실 가공 기계 장치를 개발해 보급*하고 있다.

* 매실 가공 기계 시스템 신기술 시범사업 추진 확대: 2021년 3개소 → 2022년 5개소 → 2023년 5개소

우리나라 매실 생산량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4만 1,000톤에 이르지만, 이 가운데 가공된 매실은 3,300톤에 그쳐 약 8%에 불과**하다.

** 2021, 통계청

매실은 가공품이 생과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되지만, 가공과정이 번거로워 주로 생과로 유통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 역시 손질이 힘든 매실 생과를 구입하기보다 손쉽게 먹을 수 있는 매실 가공제품을 찾는 추세다.

 

농촌진흥청은 매실 가공을 힘들어하는 농가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부가가치 높은 지역특산품 생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19년 매실 가공 기계 장치(가공공장용, 농가용) 2종을 개발해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매실 씨 제거와 과육 절단 과정을 한 번에 할 수 있는 가공 기계를 사용하면 가공공장용은 시간당 216kg, 농가용은 36kg을 작업할 수 있다. 노동력은 각각 56%(가공공장용), 33%(농가용) 절감할 수 있다.

2020년에는 장치 성능을 한 단계 높여 매실 씨 제거, 과육 자르기, 세척, 물기 제거 등 모든 공정을 기계화했다.

매실을 씨 제거 과육 절단 장치로 자르고 씨를 뺀 다음 ‘공기 방울 와류식’ 방식으로 세척하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로 씻는다.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위아래로 뒤집으며 공기를 분사해 물기를 말린다. 이러면 바로 가공제품을 만들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장치를 보급한 결과, 매실 생과보다 부가가치가 70% 높은 절임 가공 매실을 인력 가공 대비 5.5배 더 많이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에는 기존 장치에 절임 작업 기능까지 추가해 성능을 개선했다. 씻어 건조한 매실을 계량 공급 장치에 넣어 무게를 설정하면 매실과 설탕 같은 절임 부재료가 고루 섞여 나온다.

이 장치를 사용했을 때 전체 작업성능은 1시간당 144kg으로 나타나 인력작업(8.8kg/시간)보다 93.8%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 비용은 1킬로당 1,407원이 들어 사람이 작업할 때(5,206.9원/kg)보다 64% 줄었다.

 

농촌진흥청은 17일, 전남 광양 농업기술센터에서 현장 연시회를 열고 현장 의견을 수렴해 장치를 개선 보완한 후 영농현장에 시범 보급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수확후관리공학과 손재용 과장은 “이번에 개발한 매실 절임 전 과정 기계화 기술은 부가가치 높은 매실 가공제품을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매실을 활용한 지역특성화상품의 다양화, 농가 소득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사례] 우리나라 최대 매실 주산지인 전남 광양에서 매실 농사를 짓는 농업인 조상현 씨는 최근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매실 가공 기계 장치 현장 실증에 참여했다. 그 결과, 저장이 어려워 짧은 기간 생과 상태로 판매했던 매실을 활용해 쉽고 빠르게 5.5배(작업 능력 1시간당 144kg)나 많은 양의 절임 매실을 가공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앞으로도 국립농업과학원에서는 농작업 편의성을 높여 농가 소득증대를 돕는 현장 적용 기술 지원 사례를 소개하고, 연구와 기술 보급 적용 성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특별자치도새마을회, ‘민생상생 공동체 결의대회’
전북특별자치도새마을회가 6일 장수군 장수종합실내체육관에서‘2025 전북특별자치도새마을지도자 민생상생 공동체 결의대회’를 열고, 한 해 동안 추진한 나눔과 봉사 활동의 성과를 되돌아보며 상생과 협력의 새마을정신 실천을 다짐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최훈식 장수군수, 이상수 도새마을회장을 비롯해 도내 새마을지도자 2,000여 명이 참석해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연대 의지를 함께했다. 참석자들은 서로의 노고를 격려하며 도민과 함께하는 민생회복 실천 활동을 지속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기념식에서는 새마을운동 확산과 지역공동체 발전에 헌신한 유공자들을 대상으로 도지사 표창 36명, 새마을기념장 2명, 도회장 표창 14명 등 총 52명에게 표창을 수여했다. 이어 참석자들은 도내 현장에서 추진된 각종 나눔·봉사 활동을 담은 ‘보람의 현장’ 영상을 함께 시청하며, 2026년을 새마을운동의 새로운 도약의 해로 만들기 위한 실천 의지를 다졌다. 행사장에서는 장수 농·특산물 직거래 장터 ‘얼쑤-민생상생 새마을 장터’도 함께 운영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농가 지원 분위기 확산에도 기여했다. 또한 ‘전북 전주의 꿈, 올림픽으로 하나되는 대한민국’을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