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1.2℃
  • 흐림강릉 12.4℃
  • 구름많음서울 22.5℃
  • 구름많음대전 22.9℃
  • 구름많음대구 18.3℃
  • 구름많음울산 15.8℃
  • 흐림광주 21.7℃
  • 구름많음부산 17.1℃
  • 흐림고창 19.2℃
  • 구름많음제주 17.6℃
  • 구름많음강화 18.6℃
  • 구름많음보은 20.8℃
  • 구름많음금산 22.3℃
  • 흐림강진군 16.3℃
  • 구름많음경주시 15.1℃
  • 구름많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알림방

[모집]제9기(‘25~’26)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 신입생 모집

○ ’24.10.14~11.29일까지 15개 전공 300명(전공별 20명) 모집

○ 입학 후 2년간(’25.2~26.12) 전공별 이론ㆍ실습 및 국내외 현장교육 실시

○ 2,000여 졸업생, 농업분야 지역리더로 활약하며 농업소득 증대 기여


전북특별자치도 농식품인력개발원은 전문 농업경영인 양성을 위해 학업에 참여할 제9기(2025~2026) 신입생을 오는 10월 14일부터 11월 29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제9기 모집 인원은 일반인반 13개 전공과 청년농CEO반 2개 전공으로 구성된 총 15개 전공과목이며, 전공별 20명씩 총 300명을 모집할 계획이다.

 

※ 신입생 모집 개요

 

 

일반인 반 지원자는 해당 전공 품목을 5년 이상 재배 또는 사육한 경력이 필요하며, 나이 제한은 없다. 반면, 청년농CEO반 지원자는 영농 경력에 상관없이 40세 이하인 농업인이면 지원할 수 있다.

 

입학원서는 각 시ㆍ군 읍면동 주민센터와 농업기술센터, 3개 캠퍼스(전북농식품인력개발원, 전북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 교부받거나, 농식품인력개발원 홈페이지(https://agriacademy.jeonbuk.go.kr)에서 다운로드해 작성 후 우편 또는 방문 접수할 수 있다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에 입학하면 매주 1회 수업을 수강하며, 이론 및 실습을 통해 전문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또한, 국내외 품목별 우수 농장과 관련 기관을 방문하여 현장 학습을 진행한다.

 

특히, 해외 연수 기회도 제공되며, 제8기(2023~2024)의 경우 일본, 동남아, 네덜란드, 벨기에 등지에서 선진 농법을 배우는 시간도 가졌다.

 

이태수 농식품인력개발원장은 “현재 농업은 경영화, 스마트화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며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교육생들을 전문 농업경영인으로 성장시켜 도내 농업 분야의 지역 리더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은 농림축산식품부의 국비지원을 받아 2009년 제1기를 시작으로, 올해 제8기 졸업 예정자까지 총 2,000여 명의 교육생을 배출했다. 이들은 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으로 지역에서 농업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신입생 모집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농식품인력개발원(063-290-6425), 전북대학교(063-270-4152), 한국농수산대학교(063-238-9722)로 문의하면 된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데이터 기반 행정 효율 높이기 위해 전략적 기획 필요”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데이터 기반 행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올해 신설한 ‘빅데이터담당’을 중심으로 전략적 기획에 기반을 두고 조직을 운영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미래교육연구원 미래교육정책연구소(소장 남궁상운)는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의 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를 위한 진단: 유형 비교와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라는 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연구는 빅데이터담당을 신설한 전북교육청이 전국 시·도교육청과의 비교·분석 등을 통해 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 방안을 마련하는 게 목적이었다. 미래교육정책연구소는 인식조사 분석과 데이터 유형 분석 등을 토대로 △정책설계 전략 △조직 관리 전략 △인사 관리 전략 △조직문화 정착 전략 등 전략적 기획 관점에서 4가지 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 대안을 내놓았다. ‘정책 설계 전략’의 경우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의 중점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구조화함으로써, 데이터 기반 행정의 실질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데이터를 정책 주기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분석하는 로드맵을 설계하고, 정성적 속성을 가진 정책과제에 대한 지표화 및 수집체계 정비도 필요하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