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많음동두천 5.5℃
  • 맑음강릉 11.0℃
  • 구름많음서울 7.5℃
  • 맑음대전 6.4℃
  • 맑음대구 9.3℃
  • 맑음울산 10.4℃
  • 맑음광주 7.7℃
  • 맑음부산 11.2℃
  • 맑음고창 4.5℃
  • 맑음제주 11.3℃
  • 맑음강화 6.4℃
  • 맑음보은 3.3℃
  • 맑음금산 4.5℃
  • 맑음강진군 5.7℃
  • 맑음경주시 10.1℃
  • 맑음거제 11.5℃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전북교육청, '25년 제1회 추경예산 1,506억 증액 편성

학력신장·책임교육 등 10대 핵심과제 추진 및 학생 안전 강화에 중점

교육환경 개선 사업에도 879억 원 편성… 교육 현장 요구 선제적 대응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2025년도 본예산 4조5,732억 원 대비 1,506억 원(3.3%) 증가한 4조7,238억 원 규모의 ‘2025년도 전북특별자치도교육비특별회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 제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추경 예산안은 ‘학력신장’과 ‘책임교육’ 실현을 위한 정책 사업에 대한 재정 투자와 교육환경 개선사업에 중점을 뒀다.

 

먼저 독서 생활화로 지적 능력 향상과 인문학적 소양을 제고하기 위한 독서·인문 교육에 62억 원을 투자한다. 아침 10분 독서 지원 학교를 80개교, 미래형 도서관 공간혁신 사업 지원 학교를 30개교 더 확대하고, 내 고장 바로알기 독서·인문 교육 사업을 신규 편성했다.

 

수업혁신을 통한 학력신장과 학생의 미래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 학습 프로그램에는 95억 원을 편성했다. 전북형 AI서비스 구축에 50억 원, 에듀테크 활용 수업혁신 지원에 6억 원, 중위권 교과보충 프로그램 운영에 10억 원, 초등 과정중심 평가 운영에 1억 원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학생 중심의 특수교육 지원체계 내실화 및 존중과 배려의 문화 다양성 교육 실현을 위한 다문화 교육에는 19억 원을 편성했다. 특수교육 자원봉사자 확대 운영에 7억 원, 놀이공간 지원 사업에 7억 원 등을 반영했으며, 한국어 1:1 집중교육 3억 원, 외국인 유학생 유치 지원 1억 원 등을 반영했다.

 

학교 안전관리 강화 대책 예산 20억 원도 추가로 편성했다. 늘봄학교 학생의 안전한 하교 지원을 위한 늘봄지킴이 운영 2억 원, 학교 내 CCTV 설치 지원 3억 원,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교사의 책임 부담 완화와 학생 안전을 위한 보조인력 운영 지원 3억 원 등이다.

 

교육환경 개선 사업에는 879억 원을 편성했다. 학교시설 환경 개선 270억 원, 학교급식 기구 및 시설 확충 163억 원, 학교 체육시설 개선 23억 원, 특성화고 여건 개선에 156억 원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추경 예산안은 △보통교부금 등 중앙정부 이전수입 505억 원 △지방자치단체 및 기타 이전수입 1억 원 △자체수입 및 기타 20억 원을 재원으로 하고, 부족한 세입 재원 980억 원은 통합교육재정안정화기금 330억 원과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 650억 원을 활용했다.

 

이 예산안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오는 5월 7일 확정될 예정이다.

 

이상곤 예산과장은 “이번 추경 예산은 올해 핵심과제인 학력신장과 책임교육의 안정적인 이행과 학교안전 강화에 중점을 뒀다”며 “원활한 예산 심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의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넘쳐 나는 전자상거래 화물, 특송물류 선도 전략 "절실"
한중카페리 항로와 군산세관 특송물류센터 등을 통해 전북지역 특송화물 유입이 크게 증가추세지만 물류거점기능 부족으로 연관산업의 선순환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때문에 국경간 전자상거래 확산에 따른 특송물류시장 확대를 선도하기 위한 특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16일 발간한 이슈브리핑 ‘특송물류 중심지 경쟁의 분수령, 지금 전북자치도에 필요한 것은?’이란 연구를 통해 전북자치도의 특송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전북연구원은 지난해 정식 개장한 군산세관 특송물류센터가 월 80만 건 이상의 전자상거래 화물을 처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계 인프라 부족과 대기업 물류센터 부재로 인해 연관 산업의 지역 내 선순환 효과가 낮다고 분석했다. 특히 인천 아암물류단지 완공 및 수도권 중심 전자상거래 특화구역 확대에 따라 전북이 특송화물 거점 기능을 지속하려면 지금부터 대응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연구원은 그 배경으로 전북자치도의 비수도권 유일 특송통관 독점성과 군산-시다오 단일 항로 기반의 물동량 집중 구조, 새만금 트라이포트 인프라 연계 가능성을 핵심 강점으로 제시했다. 이를 활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