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7.7℃
  • 맑음강릉 9.1℃
  • 구름조금서울 9.7℃
  • 맑음대전 10.0℃
  • 맑음대구 12.1℃
  • 맑음울산 10.2℃
  • 흐림광주 11.0℃
  • 구름많음부산 11.1℃
  • 흐림고창 6.4℃
  • 흐림제주 10.3℃
  • 흐림강화 7.1℃
  • 맑음보은 8.4℃
  • 구름조금금산 9.0℃
  • 흐림강진군 9.7℃
  • 맑음경주시 10.2℃
  • 구름많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알림방

[모집]청년 생기발랄 생각펼침 ‘생생 아이디어 지원사업’참여자 모집

○ 2월 23일까지 접수, 사업당 최대 5천만원 지원

○ 청년정책의 당사자인 청년이 제안한 아이디어 정책화 지원

○ 청년 수요를 반영하기 위한 ‘참여형 온라인 청년투표’ 도입

 

전북특별자치도는 청년의 정책 참여 강화 및 청년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해 2월 23일까지 도내 청년을 대상으로 ‘2024년 전북 청년 생생아이디어 지원 사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전북 청년 생생 아이디어 지원 사업’은 청년 문제 당사자인 청년이 해결방안을 직접 제안하고 스스로 사업을 실현하는 청년 참여예산 성격의 사업이다.

 

지원자격은 5인 이상으로 구성된 청년단체 또는 법인으로 ▲대표가 청년인 경우, ▲청년 5인 이상으로 구성된 경우, ▲사업참여 구성원의 청년비율이 50% 이상인 경우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한다.

 

공모주제는 ‘전북 청년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형 청년정책 사업’으로 일자리, 주거, 교육, 인구, 저출산, 문화 등을 포함한 청년 정책 전반을 대상으로 하며, 사업당 최대 5천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사업참여를 희망하는 청년단체·법인은 공고문에 첨부된 신청서 등을 시·군 담당부서에 제출하면 된다. 더 자세한 신청 방법은 전북특자도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고문에서 확인 가능하다.

 

올해 달라지는 점은 사업에 대한 청년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온라인 청년투표’를 진행한다는 점이다. 청년투표는 전북청년허브센터 홈페이지(https://www.jb2030.or.kr/)에서 온라인으로 3월 중에 진행될 예정이며, 투표를 통해 사업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와 선호도를 반영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청년정책 전문가 등 내·외부 위원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발표심사를 거쳐 투표점수와 합산해 최종 사업이 선정된다. 도는 사업 선정에 있어 사업계획의 타당성, 지역청년 참여도, 청년체감도 등을 평가해 공정한 심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노홍석 전북특별자치도 기획조정실장은 “청년 생생아이디어 지원사업은 청년이 참여 주체가 돼 직접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정책화하는 청년들의 도정 참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제안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국산 정식기 개발’로 밭농업 기계화 속도 높인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4월 4일, 청과 함께 정식기를 개발 중인 ㈜하다(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를 방문해 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기계화에 적합한 육묘 생산 방안을 논의했다. ㈜하다는 우리나라 주요 8대 밭작물 중 모종을 키워 본밭에 옮겨 심은 후 재배하는 양파, 배추, 고추 3작목에 쓸 수 있는 국산 정식기를 개발하고 있다. 양파 정식기는 4줄(왕복 8줄)을 동시에 심을 수 있고, 배추 정식기는 지역과 작형에 따라 1줄이나 2줄(왕복)로 심을 수 있다. 고추 정식기는 표준 재배양식에 맞춰 1줄로 심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권 청장은 양파, 배추, 고추 정식기 개발 현황을 살펴본 뒤 “국산 정식기 개발과 보급은 밭작물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첫걸음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농촌진흥청은 국내 소규모 밭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고성능 정식기를 개발하고 있다.”라며 “국산 정식기가 보급되면, 가격이 비싸고 국내 육묘판과의 호환성 문제로 사용에 어려움이 많은 수입 정식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권 청장은 한국육묘산업연합회 관계자를 비롯해 육묘 전문가들을 만나 기계화에 적합한 육묘 생산기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