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7.5℃
  • 맑음강릉 8.4℃
  • 흐림서울 9.6℃
  • 구름조금대전 9.3℃
  • 구름많음대구 11.3℃
  • 구름많음울산 8.8℃
  • 흐림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0.9℃
  • 흐림고창 5.9℃
  • 흐림제주 10.2℃
  • 흐림강화 6.4℃
  • 맑음보은 6.9℃
  • 구름조금금산 7.5℃
  • 흐림강진군 9.1℃
  • 구름많음경주시 7.9℃
  • 구름많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알림방

[모집]전북자치도, 지역창업활성화 위해 파트너 찾는다.

○ 준비된 창업자 양성 위한 ‘창창한 창업스쿨’ 운영기관 모집

○ 도외 유망기업 유치 위한 ‘스타트업 전북 챌린지’ 운영기관 모집

 

 

전북특별자치도는 올해 신규정책으로 추진하는 ‘창창한 창업스쿨’ 사업과, ‘스타트업 전북 챌린지’ 사업을 운영할 주관기관을 2월 16일부터 3월 4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창창한 창업스쿨’은 대부분의 예비창업자들이 실제 창업 시에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해 현실적, 구체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예비창업자 전문교육 기회가 부족하다는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올해 신규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에, 혁신적인 기술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보유한 지역 내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이론 중심의 강의식 교육이 아닌 1:1 밀착 컨설팅,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선정된 운영기관은 시장검증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 고도화를 위해서 최소요건제품(MVP*) 제작, 모의경영 시뮬레이션 등을 지원하며, 선배 창업가 멘토링 및 경영 노하우 전수 등 집중 교육을 통해서 준비된 창업자 양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 MVP : Minimum Viable Product

 

다음으로, ‘스타트업 전북 챌린지’ 는 지역 주력 신산업* 및 10대 초격차 분야** 등 고부가가치 산업과 연관된 우수한 경쟁력을 갖춘 도외 스타트업을 도내로 유치하는 사업이다.

* 바이오, 이차전지, 방위산업, 미래모빌리티, 기후테크 등

**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 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 빅데이터·인공지능(AI), 사이버보안·네트워크, 항공우주·해양, 차세대원전, 양자기술

 

유망한 도외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사업 컨설팅, 투자유치 역량강화 교육을 지원하면서 도내 이전 시 사업화 자금 지원 및 TIPS 프로그램 추천 연계 등을 통해 실질적인 정착과 기업의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다.

 

운영기관 모집은 공모를 통해 자격요건 검토, 서류평가·발표평가, 최종 선정심의위원회를 거쳐 ‘창창한 창업스쿨’과, ‘스타트업 전북 챌린지’ 사업별 각 1개 기관씩 총 2개 주관기관을 선정한다.

 

천세창 전북자치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현장에서 필요한 실질적인 교육을 통해 준비된 창업가를 양성하고, 성장 가능성과 지역 파급효과가 높은 도외 창업기업을 유치하여 지역 창업 활성화에 견인할 수 있게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창창한 창업스쿨’ 사업과 ‘스타트업 전북 챌린지’ 사업은 3월 중 운영기관을 심사·선정하며 4월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국산 정식기 개발’로 밭농업 기계화 속도 높인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4월 4일, 청과 함께 정식기를 개발 중인 ㈜하다(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를 방문해 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기계화에 적합한 육묘 생산 방안을 논의했다. ㈜하다는 우리나라 주요 8대 밭작물 중 모종을 키워 본밭에 옮겨 심은 후 재배하는 양파, 배추, 고추 3작목에 쓸 수 있는 국산 정식기를 개발하고 있다. 양파 정식기는 4줄(왕복 8줄)을 동시에 심을 수 있고, 배추 정식기는 지역과 작형에 따라 1줄이나 2줄(왕복)로 심을 수 있다. 고추 정식기는 표준 재배양식에 맞춰 1줄로 심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권 청장은 양파, 배추, 고추 정식기 개발 현황을 살펴본 뒤 “국산 정식기 개발과 보급은 밭작물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첫걸음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농촌진흥청은 국내 소규모 밭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고성능 정식기를 개발하고 있다.”라며 “국산 정식기가 보급되면, 가격이 비싸고 국내 육묘판과의 호환성 문제로 사용에 어려움이 많은 수입 정식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권 청장은 한국육묘산업연합회 관계자를 비롯해 육묘 전문가들을 만나 기계화에 적합한 육묘 생산기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