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7.7℃
  • 맑음강릉 9.1℃
  • 구름조금서울 9.7℃
  • 맑음대전 10.0℃
  • 맑음대구 12.1℃
  • 맑음울산 10.2℃
  • 흐림광주 11.0℃
  • 구름많음부산 11.1℃
  • 흐림고창 6.4℃
  • 흐림제주 10.3℃
  • 흐림강화 7.1℃
  • 맑음보은 8.4℃
  • 구름조금금산 9.0℃
  • 흐림강진군 9.7℃
  • 맑음경주시 10.2℃
  • 구름많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알림방

[공고]전북자치도, 제22회 우수중소기업인상 선정 공고

○ 3월 20일부터 4월 3일까지 우수 중소기업인 후보자 모집

○ 고용창출, 매출신장 등 8개 분야별 우수중소기업인 선정

○ 분야별 경영개선보조금 지원 및 공로패‧인증현판 수여

 

전북특별자치도는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인의 사기진작과 자긍심을 제고하기 위해 선정하는 ‘제22회 전북특별자치도 우수중소기업인상’ 후보자를 모집한다고 20일 밝혔다.

 

‘전북특별자치도 우수중소기업인상’은 ▲고용창출 ▲매출신장 ▲지역발전공헌 ▲우수신제품개발 ▲장수기업 ▲창업기업 ▲경제단체 ▲중소기업협동조합 분야로 총 8개 분야별 공적기준을 충족한 중소기업 및 경제단체 대표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선정대상은 공고일 기준 ①도내에서 3년 이상 기업을 경영하며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한 공이 큰, 상시 근로자 5인 이상인 중소기업 대표와,

 

②도내에서 3년 이상 활동하며 중소기업의 경영환경 개선과 중소기업자의 지위 향상에 기여한 경제단체 및 중소기업협동조합의 대표이다.

 

선정된 기업과 경제단체는 2천 5백만원의 경영개선보조금을 지원받고, 공로패와 인증현판이 수여된다.

 

또한, 예우기간 5년 동안 전북자치도 경영안정자금 융자한도를 기업당 최고 5억 원까지 확대해 이차보전 3.0%로 지원받고, 지방세 세무조사를 3년간 유예받는 등의 혜택도 주어진다.

 

신청하려는 기업은 3월 20일부터 4월 3일까지 신청기업 소재지 시·군 기업지원부서 및 경제 관련 기관에 방문 또는 우편으로 신청서류를 접수하면 된다.

 

시·군 및 경제 관련 기관은 4월 4일부터 5일까지 신청 기업들의 기본 자격요건 검수를 거친 후 도에 추천한다.

 

전북자치도는 서류심사와 현장심사를 진행하고, 6월 중 ‘전북특별자치도 중소기업지원기관협의회’의 심층심사를 통해 분야별 최종 수상자를 선정한다.

 

선정 관련 기타 자세한 사항은 전북특별자치도 및 시·군 홈페이지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천세창 전북특별자치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이번 우수중소기업인상 선정으로 기술력과 경영 역량을 갖춘 기업인들이 분야별 최우수 기업이라는 자긍심을 가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며, “앞으로도 전북특별자치도는 중소기업이 마음껏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의 성장을 뒷받침 하는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자치도는 2003년 첫 우수중소기업인상 선정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총 113명의 기업인을 선정해 경영개선보조금, 전북특별자치도 중소기업 육성자금 우대 등 다양한 지원을 추진해 왔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국산 정식기 개발’로 밭농업 기계화 속도 높인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4월 4일, 청과 함께 정식기를 개발 중인 ㈜하다(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를 방문해 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기계화에 적합한 육묘 생산 방안을 논의했다. ㈜하다는 우리나라 주요 8대 밭작물 중 모종을 키워 본밭에 옮겨 심은 후 재배하는 양파, 배추, 고추 3작목에 쓸 수 있는 국산 정식기를 개발하고 있다. 양파 정식기는 4줄(왕복 8줄)을 동시에 심을 수 있고, 배추 정식기는 지역과 작형에 따라 1줄이나 2줄(왕복)로 심을 수 있다. 고추 정식기는 표준 재배양식에 맞춰 1줄로 심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권 청장은 양파, 배추, 고추 정식기 개발 현황을 살펴본 뒤 “국산 정식기 개발과 보급은 밭작물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첫걸음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농촌진흥청은 국내 소규모 밭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고성능 정식기를 개발하고 있다.”라며 “국산 정식기가 보급되면, 가격이 비싸고 국내 육묘판과의 호환성 문제로 사용에 어려움이 많은 수입 정식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권 청장은 한국육묘산업연합회 관계자를 비롯해 육묘 전문가들을 만나 기계화에 적합한 육묘 생산기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