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의 지역특성에 맞는 해외인재유치 및 전문인력 양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전북자치도는 7일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광역지자체에서 지역특성에 맞는 맞춤형 비자 요건을 설계하면 법무부가 승인하는 사업이다. 16개 지자체가 공모에 참가한 결과, 전북을 포함한 14개 지자체가 선정됐다.
전북은 특화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지역대학을 살릴 방안으로 유학생 비자를 선택하여 비자 요건을 설계했다. 전북의 핵심전략인 생명산업 육성과 전환산업 진흥에 초점을 맞추어 생명서비스, 청정 에너지 등 관련 전공으로 유학하려는 해외 인재들에게 비자요건을 완화한 것이다.
우선, 해외 인재들이 경제적 부담없이 전북으로 유학할 수 있도록 재정능력 심사기준을 1,600만원에서 800만원으로 대폭 낮추었다.
또한 10~25시간까지 가능했던 유학생들의 시간제취업 시간을 30시간으로 확대했다. 전북에 유학온 외국인 학생들이 어려움없이 학습과 일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밖에 외국인유학생들이 학기중 인턴활동이 가능해져 졸업 후 전북 취업과 정착이 용이해진다.
전북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2년간 670명의 유학생을 유치할 계획이다. 학령인구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대학들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후 지역 대학들과 세부전공 및 운영계획에 대한 간담회를 열고, 사업지침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또한 전북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와 연계함으로써 유학생 유치를 넘어 지역산업 필요인재 양성과 도내 인구증가로 이어지도록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기존 유학생 지원 정책들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도 강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관영 지사는 “광역형비자 공모사업 선정은 전북형 출입국이민정책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지역대학의 해외유학생 유치와 농생명바이오산업 등 전북 특화산업 발전이 상호연계되도록 제도의 취지를 살려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은 지난 2023년에 법무부와 외국인·이민정책 테스트베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작년에는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를 개소하였으며, 지난 3월에는 글로벌창업이민센터를 비수도권 최초로 개소하는 등 지역기반 외국인·이민 정책을 선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