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현대사회에 있어서 ‘허기(hunger)’는 참 어울리지 않는 단어다. 시장 자유주의 논리 위에 있는 세상은 오히려 화려함과 풍족하다는 말에 더욱 가까워 보인다. 그럼에도 빈곤과 부의 불평등한 분배에 관한 문제는 연일 쏟아져 나온다. 청년 실업률이 10%에 다다르고, 거의 4년째 2%에서 3%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는 지금, 사람들을 지배하는 것은 경제적인 빈곤뿐만이 아니다. 한국 사회는 날이 벼려진 칼날 같다. 인터넷 기사에 댓글만 봐도 현 문재인 정부를 지나치게 미화하거나 혹은 과하게 깎아내리는 양상이 펼쳐진다. 중도의 온건한 온도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유 튜브 홈페이지에서 가짜뉴스를 퍼트려 특정 사회정치적 성향을 옹호하거나 선동한다. 주 창윤의 <허기사회>는 과도한 흥분과 공분을 현대인의 정서적인 허기에서 찾고 있다. 70년대 후반에서 80년대에 일어난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사람들은 말 그대로의 배고픔에 더 이상 시달리지 않는다. 다만 이미 비어버린 밥그릇을 보며 끝이 없는 공허감과 보이지 않는 정신적 허기를 느낀다. 한 때 수많은 미디어는 ‘치유’, ‘힐링’의 코드로 콘텐츠를 만들어 낸다. 저자 주 창윤은 이런 상황을 ‘퇴행적
무진장인터넷뉴스 전북 진안군 진안읍 대괭이길 40-36 등록번호 : 아00521 | 발행일 : 2019-01-03 | 발행인 : 한영희 | 편집인 : 한영희 | 전화번호 : 063-247-4365 | FAX : 063-433-1779 Copyright ©2019 mjjnews. All rights reserved.
UPDATE: 2025년 04월 01일 16시 49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