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흐림동두천 11.3℃
  • 구름많음강릉 11.6℃
  • 흐림서울 14.2℃
  • 구름많음대전 13.5℃
  • 구름많음대구 12.9℃
  • 구름많음울산 9.2℃
  • 구름많음광주 14.3℃
  • 구름많음부산 12.3℃
  • 구름많음고창 15.3℃
  • 구름많음제주 13.6℃
  • 흐림강화 10.0℃
  • 흐림보은 10.3℃
  • 구름많음금산 10.5℃
  • 구름많음강진군 10.9℃
  • 구름많음경주시 7.6℃
  • 구름많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알림방

[알림]4~6일,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들의 품격높은 향연에 초대합니다

○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전주 경기전광장 일원서 

○ 문화재 보유자들 대거 참여 풍성한 공연…타지역 문화재 초청도

○ 전통놀이·페이스페인팅·엘이디풍선만들기 등 체험도 가능

 

 

판소리를 비롯해 기접놀이, 가야금 산조와 병창, 살풀이춤 등 도내 무형문화재 예능 보유자들의 향연이 3일간 펼쳐진다.

 

전북도는 (사)전라북도무형문화재 연합회(이하 연합회)와 함께 4일부터 6일까지 3일 동안 전주 경기전 일원에서 제6회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한마당 축제가 열린다고 밝혔다.

 

무형유산의 대중화와 보전․전승 활성화를 위한 이번 축제는 ‘조금 더 가까이, 시간이 빚은 위대한 유산’이라는 주제로 예능보유자 17명을 비롯해 전통문화 보존회 6개팀 등 모두 23건의 다양한 공연이 열려 오랜시간 전승해 온 귀중한 우리의 문화유산, 전라북도무형문화재를 널리 알리며 대중들에게 성큼 다가설 것으로 기대된다.

 

4일 전라북도무형문화재 제63호인 ‘전주기접놀이’ 식전공연을 시작으로 천선미 문화체육관광국장, 전주시장, 도의원, 왕기석 무형문화재 연합회 이사장 등 5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화려한 막이 올랐다.

 

첫날 공연은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남도잡가 ▲김영희·최선·모보경·지성자·장문희 무형문화재 보유자 ▲전라삼현육각 보존회 순으로 진행됐다.

 

이번 축제의 또다른 특징은 그동안 선보이지 못했던 지역 무형유산의 보전과 교류를 위한 타 지역 무형문화재 초청공연도 열린다.

 

4일에는 전라남도무형문화재 남도잡가를 선보였고, 5일은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진도북춤이 펼쳐진다.

 

또한, 이번 축제기간에는 상설 공연을 찾는 관객들을 위해 전통놀이와 페이스페인팅 등 체험행사도 함께 진행되며 행사장을 찾기 어려운 관객들을 위해 온라인 홈페이지(http://www.jeonmoyeon.com/)에서도 예능보유자 공연과 기능보유자 작품전을 만나볼 수 있다.

 

천선미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우리 전라북도는 유구한 역사와 함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판소리 등 전통문화가 살아있는 고장이다”며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들의 품격높은 공연을 도민들께서 자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고창 웰파크시티, 문체부 ‘'25년 우수 웰니스 관광지’신규 선정
전북특별자치도는 고창 웰파크시티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실시한 ‘2025년 우수 웰니스 관광지’ 공모에서 신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전북의 우수 웰니스 관광지는 기존 5개소(완주 구이안덕마을, 진안 홍삼스파, 무주 태권도원, 완주 아원고택, 순창 쉴랜드)에 고창 웰파크시티가 추가되며 총 6개소의 웰니스 관광지를 보유하게 됐다. 고창 웰파크시티는 ‘뷰티/스파’ 테마에 부합하는 다양한 힐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요가와 아쿠아로빅, 홀론테라피 등을 통해 방문객의 심신 안정을 돕고 있다. 특히 게르마늄 성분이 풍부한 온천수를 활용한 자연 치유 효과가 높이 평가됐다. * 우수웰니스관광지 대상 테마(6개) - 로컬 음식 및 문화 경험을 선호하는 관광 트렌드를 반영하여 ▲뷰티/스파, ▲힐링/명상, ▲자연치유, ▲한방 ▲푸드, ▲스테이(숙박) 총 6개 테마로 구성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번에 선정된 우수 웰니스 관광지를 대상으로 해외 홍보마케팅, 관광상품화, 맞춤형 컨설팅 및 역량 강화 교육, 웰니스 관광 대국민 홍보 이벤트 참여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도는 국민 소득 증가와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라 ‘몸과 마음의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