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농식품인력개발원은 스마트팜을 선도할 청년농업인 양성을 위한 교육생을 4월 22일부터 5월 29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교육운영 품목은 딸기·토마토·오이·엽채소로 총52명을 선발하며, 모집대상은 지역·전공에 관계없이 18세 부터 39세 이하(1985~2007년 출생자)의 스마트팜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북자치도는 29일 14시, 전북 김제 스마트팜혁신밸리(김제시 백구면)에서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
선정 절차는 1단계 적격심사, 2단계 서류심사, 3단계 면접심사를 거쳐 7월 중순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교육과정은 3단계로 구성되며, 1단계 입문교육(2개월, 180시간)은 스마트팜 농업기초 이론교육(경영관리, 시설관리, 작물생리, 품목재배 등), 2단계 교육형실습(6개월, 480시간)은 전문가 지도하에 종자 파종부터 수확까지 실습과정으로 진행하며, 마지막 3단계 경영형실습(12개월, 960시간)은 교육생 자기 주도하에 스마트팜을 1년간 직접 경영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교육에 소요되는 교육비는 전액 국비(무료)로 지원되며, 교육단계별로 월 최대 70만원까지 교육생 실습비(숙․식비)를 지원한다. 또한, 경영형실습 단계에는 영농재료비를 월 30만원 추가 지원함으로써 교육과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한다.
교육과정을 수료한 교육생에게는 임대형 스마트팜 우선 입주자격, 스마트팜 종합자금(30억원, 융자) 신청자격, 청년창업 스마트팜 패키지 지원사업 신청자격, 청년후계농 선발시 가점 등 특전이 부여된다.
한편, 전북 스마트팜청년창업보육 교육시스템은 밀착형 교육 운영으로 타 지역과 달리 교육운영 전문가 5명을 전진 배치하고 5명 이내의 소규모 팀을 구성, 실습온실과 학습공간을 배정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높여 해마다 지원자수가 증가하여 지난해의 경쟁률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6.3:1을 기록하는 등, 전북형 교육시스템은 타지역에서도 인기가 높아 전국에서 가장 많은 교육생을 배출(196명, 1~5기), 178명(90.8%)이 창농하여 영농활동 중에 있다.
최재용 전북자치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전북도는 농생명산업의 중심으로 청년들의 스마트팜 창업생태계 조성과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교육생 모집 중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팜코리아(www.smartfarmkorea.net)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회원 가입 후 온라인으로만 접수한다. 추가 궁금한 사항은 스마트팜코리아 콜센터(☎ 1522-2911) 또는 전북자치도 농식품인력개발원(☎ 290-6422)으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