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0℃
  • 맑음강릉 13.1℃
  • 구름많음서울 18.0℃
  • 맑음대전 19.9℃
  • 구름많음대구 16.8℃
  • 구름많음울산 18.7℃
  • 구름많음광주 18.0℃
  • 박무부산 17.5℃
  • 맑음고창 17.6℃
  • 흐림제주 18.8℃
  • 맑음강화 16.2℃
  • 맑음보은 17.4℃
  • 맑음금산 19.3℃
  • 구름많음강진군 18.6℃
  • 구름많음경주시 16.1℃
  • 구름많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무주뉴스

제28회 무주반딧불축제 신비탐사 & 누리관 & 별소풍 인기

- 캄캄한 밤 숲속에서 만나는 반딧불이

- 새롭게 선보인 반디누리관 인기

- 별과 눈 맞추며 추억을 쌓는 별 소풍도 호응

 

 

 

 

제28회 무주반딧불축제가 개막 4일 차를 맞이한 가운데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인 ‘반딧불이 신비탐사’와 ‘반디누리관’, 그리고 ‘반디별 소풍’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무주군에 따르면 지난 주말 서식지로 직접 떠나는 반딧불이 신비탐사에 참여한 방문객은 2천 4백여 명으로, 밤공기가 선선해지면서 반딧불이 출연 개체 수도 증가해 탐사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창원에서 왔다는 김 모 씨(45세)는 “사방이 캄캄한 숲길을 걸어 올라가는데 마치 길잡이가 돼주는 것 마냥 반짝거리며 날아다니는 반딧불이가 너무 반가웠다”라며 “반딧불이를 따라 눈길을 돌리다 눈 맞춤하게 되는 밤하늘의 별들도 너무 아름다웠다”라고 전했다.

 

제28회 무주반딧불축제 반딧불이 신비탐사는 9월 8일까지 저녁 7시에서 9시까지(탐사 시간 19:20~20:20, 일몰 후 1시간 전·후) 진행된다. (인터넷 접수만 진행_http://www.firefly.or.kr / 1인당 1만 5천 원, 참가자 전원에게 무주사랑상품권 5천 원권 제공)이다.

 

낮에도 살아있는 반딧불이를 볼 수 있는 주제관과 반딧불이가 서식하고 있는 무주의 깨끗한 자연, 그리고 반딧불이의 일생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미디어아트 영상관, 축제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축제 전시관에도 지난 주말 2천 5백여 명이 다녀가는 등 인기를 실감했다.

 

이 공간들은 올해 축제를 겨냥해 기존의 시설과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시켜 리모델링 한 것으로 미디어아트 영상관과 축제 전시관은 축제 이후에도 상시 운영할 예정이다.

 

이 모 어린이(11세, 세종)는 “책에서만 보던 반딧불이도 직접 보고 알부터 성충까지 관찰도 할 수 있어서 너무 재미있었다”라며 “더 많은 반딧불이를 자연에서 볼 수 있도록 쓰레기도 함부로 버리지 말고 환경보호에 힘써야겠다는 생각을 했다”라고 말했다.

 

‘반디별 별 소풍(이하 별 소풍)’은 ‘나만의 별자리 정하기와 관찰’, ‘별 이야기 만들기’, ‘1년 뒤 나에게 엽서 쓰기’, ‘스마트폰으로 별 촬영’하기 등 특별한 콘셉트로 인기몰이 중이다.

 

무주반딧불축제지원단 배은숙 총괄팀장은 “올해는 지난해보다 참가 인원수도 120명으로 늘리고 천체망원경(11대)과 스마트폰 삼각대(10대) 등 장비도 보완해 별 탐사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라며

 

“무엇보다 관찰 위주의 진행에서 벗어나 각자 돗자리에 자신만의 별자리를 정하고 그에 대한 전문가 설명을 들으며 스토리텔링과 발표도 해보는 그 시간들이 특별하게 가 닿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반디별 소풍은 지난 8월 31일과 9월 2일 한 회당 120명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이 됐으며 오는 9월 6일과 7일에도 밤 9시부터 11시까지 진행(사전 예약)된다.

 

서울에서 왔다는 이 모 씨(42세)는 “아이들이 좋아해서 전국의 천문과학관도 여러 곳을 가봤는데 반딧불축제 별 소풍 프로그램은 뭐가 다르다”라며 “우리 가족 별에 이름을 짓고 이야기를 덧붙이는 모든 순간이 가슴 벅차다”라고 전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미래산업으로 도약하는 수산업 육성!
전북특별자치도는 지속가능한 수산업 실현과 행복한 어촌을 만들기 위하여 올해 수산분야 8개 분야에 총 857억원을 투자하여 미래산업으로 도약하는 수산업 육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전북자치도가 추진하는 8개 분야는 ‘바다생태계 복원 및 수산자원 조성’, ‘친환경 스마트 기반 양식업 육성’, ‘수산식품산업 고도화 및 소비 활성화’, ‘수산업 공익가치 증진 및 복리 향상’, ‘어촌 정주여건 개선 및 활력 도모’, 전북형 양식산업 육성’, 지역 특화품종 생산·방류 및 연구개발‘, 안전한 수산물 생산 및 어촌 맞춤형 지원’이다. 먼저 “바다 생태계 복원과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103억원을 투자한다. 수산자원의 서식환경을 개선하고 건강한 어장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연안해역에 인공어초 설치 및 해중림 조성,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하고, 지역 특성에 적합한 건강한 수산종자 625만마리를 방류하여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연안어선을 지속적으로 감척하여 수산자원의 회복력을 제고하고, 안정적인 어획 환경을 마련하게 된다. 둘째, “친환경 스마트 기반 양식업 육성”에 나선다. 총 96억원을 투자하여 노동력 중심의 전통 양식산업을 친환